List of Articles
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Vol. 50, 2024
연구논문
Examining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New Religion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Daesoon Jinrihoe in the Subject of Religious Studies
국가교육과정 종교 교과의 신종교 서술 고찰: 대순진리회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교육과정 종교 교과의 신종교 서술 고찰: 대순진리회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4;50:1-31.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1
A Study of Byun Chan-rin’s Understanding of the Neo-Religion and Ideas of Kang Il-sun
변찬린의 새종교관과 증산사상 이해에 대한 연구
변찬린의 새종교관과 증산사상 이해에 대한 연구
J. Daesoon Acad. Sci. 2024;50:33-68.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3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33
Research on Jeon-gyeong Based on Big Data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전경(典經)』 연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전경(典經)』 연구
J. Daesoon Acad. Sci. 2024;50:69-98.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6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69
The Meaning of Mutual Life-Giving within Non-Self-Deception in Daesoon Thought: A Comparative Analysis Including the Ethical Theories of Kant, Mill, and Bergson
대순사상에서 무자기의 상생적 의미: 칸트, 밀, 베르그송 윤리학 논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순사상에서 무자기의 상생적 의미: 칸트, 밀, 베르그송 윤리학 논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4;50:99-137.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9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99
The Practical Implications Manifested in Dasan and Jeungsan’s Theory of Mutual Resonance
다산과 증산의 감응론(感應論)에 나타난 실천적 함의
다산과 증산의 감응론(感應論)에 나타난 실천적 함의
J. Daesoon Acad. Sci. 2024;50:139-176.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13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139
The Types of Healing Demonstrated in Jeon-gyeong and Their Implications
『전경(典經)』에 나타난 치병의 유형과 치유적 함의
『전경(典經)』에 나타난 치병의 유형과 치유적 함의
J. Daesoon Acad. Sci. 2024;50:177-218.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17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177
The Principle of ‘Harmony’ in the ‘Separation-Reunion’ Structure of Folk Tales: A Comparison between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and Snake Bridegroom
구비설화 속 ‘이별-재회’ 구조에 나타난 ‘화합’의 원리: <나무꾼과 선녀>와 <구렁덩덩 신선비>의 비교를 통해
구비설화 속 ‘이별-재회’ 구조에 나타난 ‘화합’의 원리: <나무꾼과 선녀>와 <구렁덩덩 신선비>의 비교를 통해
J. Daesoon Acad. Sci. 2024;50:219-257.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21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4.5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