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대순진리회의 이상사회론 연구

나권수 1 ,
Kwon-Soo Na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대진대학교․박사과정수료
1DaeJ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Kwon-Soo Na

ⓒ Copyright 2013,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31, 2013; Accepted: Nov 19, 2013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ast light on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ew religions’ utopian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and apply the findings to the utopian theory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The utopian theory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occurred to meet people's aspiration towards a new world on the background of the national ordeal and its consequential psychology in the late Chosun dynasty. As a resul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hift from a pure religious framework to participation in reality to realize religious ideals 'right here, right now'. Thus, it basically defined an utopian theory as the product of a society and history, and explained the utopian theory as the projection of the thoughts about current conflicts. However, an approach in this way may leave the likelihood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aesoonjinrihoe would be overlooked and the utopian theory would be limited to the byproduct of the age, only. Thus, this paper has dealt with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founders as the lead of discussion, not a sociological approach. In this context, the religious experience of founders can be more significant clues to view the characteristics of an utopian theory.

This directivity of a study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improve the previous sociological methodologies, the leading discourses, and to contribut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an understanding of the utopian theories of Daesoonjinrihoe. Furthermore, this paper is anticipated to give salience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new religions in Korea and to enhance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thoughts, not as the trend of the thought limited to the past.

Keywords: Religious Experience; Religious Movement; Theories of Ideal Society; Cheondogyo; Daejonggyo; Won Buddhism; Daesoonjinrihoe; Creating an Earthly Paradise

참고문헌(References)

1.

『전경』.

2.

『대순지침』.

3.

『대순진리회요람』.

4.

『동경대전』.

5.

『용담유사』.

6.

『증산천사공사기』.

7.

『대순전경』 초판.

8.

『대종교경전』.

9.

『원불교전서』.

10.

강돈구, 「신종교연구서설」, 『종교학연구』 6, 1987.

11.

강영한, 「한국 근대 신종교운동의 성격과 사회변동」,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12.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13.

고남식, 「강증산 관련 경전의 변이에 대한 고찰」, 『종교연구』 50, 2008.

14.

고남식, 「대순진리회의 생사관 연구」, 『신종교연구』 23, 2010.

15.

김동환, 「대종교 항일운동의 정신적 배경」, 『국학연구』 6, 2001.

16.

김동환, 「대종교와 홍익인간사상」, 『국학연구』 7, 2002.

17.

김성민, 「종교 체험과 개성화 과정」, 『기독교사상』 37-9, 1993.

18.

김성민, 『종교체험』, 서울: 동명사, 2001.

19.

김용휘, 「시천주 사상의 변천을 통해 본 동학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20.

김정관, 「원불교의 개벽사상」, 『종교교육학연구』 7, 종교교육학회, 1998.

21.

김태수, 「천지공사에 나타난 의례적 성격 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22.

김홍철, 『한국 신종교 사상의 연구』, 서울: 집문당, 1989.

23.

나권수, 「대순진리회의 정신개벽론 연구」, 『신종교연구』 25, 2011.

24.

나권수, 「한국 신종교의 선도사상 연구」, 『선도문화』 12, 2012.

25.

노길명, 「증산교 발생배경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증산사상연구』 2, 1975.

26.

노길명, 『한국신흥종교연구』, 서울: 경세원, 1996.

27.

대종교종경종사편수위원회, 『대종교중광육십년사』, 서울: 대종교총본사, 1971.

28.

박광수,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 서울: 집문당, 2012.

29.

박맹수, 「한국근대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원불교의 마음공부」, 『동학학보』 13, 2007.

30.

박상규, 「대순진리회의 조직과 그 특성」, 『종교연구』 70, 2013.

31.

박용철, 「대원사 공부의 이해에 나타난 종통(宗統)의 천부성(天賦性)에 대한 고찰」, 대순진리회 교무부 편, 『대순회보』 68,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7. 3.

32.

요아힘 바하, 『비교종교학』, 김종서 옮김, 서울: 민음사, 2004.

33.

윤석산, 「용담유사에 나타난 낙원사상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8, 1985.

34.

윤승용, 「한국의 근대 신종교, 근대적 종교로서의 정착과 그 한계 - 개벽사상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22, 2012.

35.

이강오, 「한국의 신흥종교 자료편 제일부-증산교계 총론 그 연혁과 교리의 개요」, 『논문집』 7, 1966.

36.

이강오, 「한국 신흥종교에서 보는 도교와 불로장생」, 『도교문화연구』 1, 1987.

37.

이경원, 「한국 근대 증산교단의 민중․민족운동」,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52, 2012.

38.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2012.

39.

이경원, 『대순종학원론』,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2013.

40.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파주: 나남출판, 2006.

41.

이재헌, 『금강대도 종리학 연구론』, 서울: 미래문화사, 2005.

42.

이찬수, 「종교체험의 해석적 성격」, 『대순사상논총』 17, 2004.

43.

이한구, 「유토피아에 대한 역사철학적 성찰과 유형화」, 『철학』 110, 2012.

44.

장재진, 『근대 동아시아의 종교다원주의와 유토피아』, 부산: 산지니, 2011.

45.

정영훈, 「홍암 나 철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 『국학연구』 6, 2001.

46.

진석환, 「현대성의 담론 안에서 본 한국 신종교의 유토피아적 성격」, 『종교연구』 37, 2004.

47.

최준식, 「증산의 가르침에 나타나는 혼합주의의 구조」, 『종교신학연구』 2,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