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대순사상의 구원론 연구

박인규 1 ,
In-gyu Park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서울대학교 박사수료
1Ph.D.Candidate,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In-gyu Park, E-mail : goldstar16@naver.com

ⓒ Copyright 2018,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30, 2018; Accepted: Jun 16, 2018

Published Online: Jun 30, 2018

초록

구원론은 종교가 제시하는 치유, 해방, 구원 등의 교리체계로 인간의 실존적 고통을 보상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신념체계이다. 본 연구는 한국 신종교 중 하나인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을 살펴보아 그 교리체계를 이해하며 그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순사상의 구원론의 증산의 천지공사론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천지공사론은 지고신인 증산께서 인간의 몸으로 화현하여 세계와 창생을 구하기 위한 종교적 작업을 하였다는 교리체계이다. 또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증산-정산-우당으로 계승되는 종통론과 연결되어 있다. 증산의 구원의 작업은 정산에 이르러 수행법으로 체계화 되고 우당에 이르러 구현된다. 곧 대순진리회의 신도들은 증산의 유지와 정산께서 세우신 진법 그리고 우당의 인도하심에 따라 수행할 때 도통에 이를 수 있다고 신앙한다.

이러한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기존의 종교전통과는 다른 독특한 차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인격적 지고신에 의한 구원을 제시한다는 특성을 보인다. 둘째, 증산께서 우주 법칙을 변화시켜 세계와 창생이 구원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셨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원한을 푸는 해원의 원리를 통해 세계와 창생을 구원한다는 논리이다.

ABSTRACT

In religious studies, soteriology is a belief system that aims to compensate and solve the existential suffering of human beings through a doctrinal system of healing, liberation, and salvation as advocated by various reli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teriology of Dasesoon Jinrihoe, a Korean new religion, and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The soteriology of Daesoon Jinrihoe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s a doctrinal system in which the Supreme God, Jeungsan, was incarnated into a human body to rescue the world and creation and to achieve this, he had performed various religious works. In addition, the soteriology of Daesoon Jinrihoe is linked to the theory of orthodox lineage spanning Jeungsan to Jeongsan and lastly to Udang. The work of salvation performed by Jeungsan is settled by Jeongsan who systematized it into methods of practice.

This soteriology has distinctive differences separating it from traditional religious traditions. First, i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offering salvation through a supreme, personal God. Second, Jeungsan is seen as having changed the cosmic law and provided the basis for the world and creation to be saved. Finally, it proposes a theory that saving the world and creation is to be achieved through the principle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Keywords: 구원론; 대순사상; 대순진리회; 천지공사; 증산; 한국 신종교
Keywords: Soteriology; Daesoon Thought; Daesoon Jinrihoe;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Jeungsan; Korean New Religions

Ⅰ. 서론

일반적으로 종교의 존재 의의는 실존적으로 고통에 빠져 있는 인간에게 구원(salvation)의 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종교적 가르침은 인간에게 고통의 의미를 설명하기도 하고 그 고통을 제거하거나 초탈하는 길을 알려주기도 한다. 인간에게 고통은 그 자체로 괴롭기도 하지만 그 고통의 이유나 의미를 알 수 없을 때 인간은 더욱 상실감, 좌절감, 무력감에 빠지거나 희망을 잃고 나락에 떨어질 수 있다. 이럴 때 종교는 고통을 승화하거나 그 고통의 의미를 설명하며 실존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사랑하는 가족을 잃었을 때 종교적 가르침은 망자가 천국에 갔다거나 내세에 다시 만날 수 있다거나 아니면 앞으로 펼쳐질 지상선경에서 재회할 수 있다는 등의 설명을 통해 상실감을 보상하고 상처를 치유하고자 한다. 또 다른 예로 어떤 이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여 신체적 고통을 당했을 때 종교적 가르침은 그 고통의 원인이 전생의 업보, 신의 시험, 척의 발동 등으로 설명하면서 해결책으로서의 가르침이나 수행을 제시하기도 한다.

종교적 가르침에서의 이러한 인간의 실존적 고통에 대한 구원 및 해방과 관련된 논의를 종교학에서는 ‘구원론(救援論, Soteriology)’이라 지칭한다. Encyclopedia of Religion의 ‘Soteriology’ 항목에서도 기독교, 힌두교, 불교, 유교 등 동서양의 종교전통에서의 구원론이 모두 거론되며 논의되었다. 이 항목을 작성한 종교학자 니니안 스마트(Ninian Smart)는 종교 일반에서의 ‘구원론’을 인격적 신이 있는 종교와 그렇지 않은 종교의 경우로 나누어서 기술하였다. 즉 유일신적 인격적 신(personal God)을 중심으로 한 종교의 경우 신의 은총에 의한 인간 구원의 길을 제시하지만, 인격적 신보다는 우주 자연의 법칙이나 원리를 중심으로 하는 종교는 인간의 윤리적 수행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전자는 곧 타력적 수행(other-help)을 내세우며 인간의 윤리적 노력보다는 신의 자애와 은총을 말하지만, 후자의 경우 인간의 정성과 노력을 강조하는 자력적 수행(self-help)을 말한다. 또 전자의 경우 신에 의한 구원(salvation)의 측면이 강하지만, 후자의 경우 해방(liberation)의 교리를 주장한다. 그리고 올바른 의례를 통한 구원을 말하는 종교가 있는 한편 의례보다는 사상 및 교리를 통한 구원을 강조하는 종교가 있다고 한다.1)

이렇듯 제 종교 전통에서는 각각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제 각기의 구원 및 해방의 길을 제시하였으며 신도(devotee)들은 그러한 구원의 희망을 품고 신행에 열중하였던 것이다. 곧 ‘구원론(Soteriology)’은 각 종교의 세계관, 인간관, 수행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해당 종교를 이해하는 주요한 종교적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된 것인가? 현재까지 대순사상의 구원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 성과는 대순사상의 다른 분야와 연구 업적과 비교해 볼 때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양무목과 오인문의 논문2)이 있으며 이항녕3), 박승식4) 등이 연구논문의 한 장으로써 구원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연구를 살펴보면, 대순사상의 한 부분을 구원과 관련지어 논의하다보니 지엽적으로만 다뤄졌을 뿐 구원론이 핵심 의제가 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은 구원론을 중심 의제로 하여 구원론과 관련된 대순진리회의 주요 교리 체계를 연관하여 살펴보아 대순사상의 구원론을 종합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즉 2장 ‘구원론에 대한 교리적 논의’에서 구원론이 천지공사론과 종통론 그리고 수행론과 관련되어 있음을 살피고 구원론의 입장에서 이 교리체계를 접근하며 각 교리에 나타난 구원론적 측면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다각적 이해를 바탕으로 대순사상의 구원론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또 기존 연구는 신학적 또는 종학적 입장의 서술이 위주로 전개되다보니 종교 일반의 구원론의 차원에서 보다 집중적으로 논의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이 점을 극복하고자 3장에서는 이러한 대순사상의 구원론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여타 종교를 염두한 채 살펴보아 대순진리회 구원론의 독특성을 드러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며, 한국종교전통 등과 차별되는 대순사상의 구원론을 밝혀서 대순사상의 독특성을 드러내어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가 의도하는 바이다.

Ⅱ. 구원론에 대한 교리적 논의

1. 천지공사와 구원론

대순사상의 구원론의 핵심은 지고신(至高神)의 인신(人身) 강세(降世)와 그 인간 형상의 지고신이 시행한 천지구원의 작업 즉 천지공사(天地公事)5)라고 할 수 있다. 즉 대순진리회의 신앙의 대상이신 증산(甑山)을 지고신이자 하느님이신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姜聖上帝)’로 존숭하는 상제관(上帝觀)과, 이러한 증산께서 천ㆍ지ㆍ인 삼계(三界)를 광구(匡救)하시려고 인간의 몸으로 화현(化現)하시어 천하창생을 구하시려고 성스러운 작업인 천지공사를 하셨다는 천지공사론6)이 구원론의 주요한 한 요체라 할 수 있다.

증산의 천지공사론은 증산의 자기인식과 세계인식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자신은 누구인가, 세계는 왜 이러한 모순과 참화를 지니게 되었는가라는 인식과 사유에서부터 세계 구원의 논리가 출발한다. 예를 들어 자신을 각자(覺者)라고 인식하며 사람들은 진리를 깨닫지 못하여 번민 속에 헤매고 있다고 자각할 때 그는 새로운 종교 운동을 시작하여 세상에 구원의 메시지를 펼치고자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증산께서 자신을 어떤 존재라고 자각을 하셨으며 세계 인식을 어떻게 하셨는지 『전경』 구절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그 문명은 물질에 치우쳐서 도리어 인류의 교만을 조장하고 마침내 천리를 흔들고 자연을 정복하려는 데서 모든 죄악을 끊임없이 저질러 신도의 권위를 떨어뜨렸으므로 천도와 인사의 상도가 어겨지고 삼계가 혼란하여 도의 근원이 끊어지게 되니 원시의 모든 신성과 불과 보살이 회집하여 인류와 신명계의 이 겁액을 구천에 하소연하므로 내가 서양(西洋) 대법국(大法國) 천계탑(天啓塔)에 내려와 천하를 대순(大巡)하다가 이 동토(東土)에 그쳐 모악산 금산사(母岳山金山寺) 삼층전(三層殿) 미륵금불(彌勒金佛)에 이르러 三十년을 지내다가 최제우(崔濟愚)에게 제세대도(濟世大道)를 계시하였으되 제우가 능히 유교의 전헌을 넘어 대도의 참뜻을 밝히지 못하므로 갑자(甲子)년에 드디어 천명과 신교(神敎)를 거두고 신미(辛未)년에 강세하였노라.…7)

상제께서 구천에 계시자 신성ㆍ불ㆍ보살 등이 상제가 아니면 혼란에 빠진 천지를 바로잡을 수 없다고 호소하므로 서양(西洋) 대법국 천계탑에 내려오셔서 삼계를 둘러보고 천하를 대순하시다가 동토에 그쳐 모악산 금산사 미륵금상에 임하여 三十년을 지내시면서 최 수운에게 천명과 신교를 내려 대도를 세우게 하셨다가 갑자년에 천명과 신교를 거두고 신미년에 스스로 세상에 내리기로 정하셨도다.8)

…우리는 개벽하여야 하나니 대개 나의 공사는 옛날에도 지금도 없으며 남의 것을 계승함도 아니요 운수에 있는 일도 아니요 오직 내가 지어 만드는 것이니라. 나는 삼계의 대권을 주재하여 선천의 도수를 뜯어고치고 후천의 무궁한 선운을 열어 낙원을 세우리라…9)

위 구절에 의하면 증산께서는 스스로를 구천에 계신 상제이자 삼계 대권의 주재자라고 말씀하셨으며 신성ㆍ불ㆍ보살의 하소연에 따라 천지, 신명계, 인류 등을 구원하시기 위해 인간의 몸으로 강세하셨다고 하셨다. 즉 증산께서는 자신을 천(天) 가운데 가장 높은 천인 구천(九天)에 거하셨던 지고신이라 인식하였다. 또 증산께서는 이러한 자기인식의 바탕에서, 우주와 세계를 조화로운 질서의 유지로 바라보지 않았으며 오히려 정반대로 “삼계가 혼란하여 도의 근원이 끊어지게 되”었으며 “혼란에 빠진 천지”의 상태가 되었다고 생각하셨다.

이러한 자기인식과 세계인식을 하였던 인물이라면 그는 그 다음 어떠한 세계 구원의 진리를 제시할 수 있을까? 자신을 지고신의 계시를 받아 미혹에 빠진 인간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예언자라고 자임하는 종교 지도자라면 그의 구원론은 지고신의 뜻을 전달하는 형태일 것이다. 수행을 통해 우주 자연의 섭리를 깨달았다고 인식한 종교 지도자는 그 섭리를 전달하고 수행을 촉구하는 논리로써 구원론을 펼칠 것이다. 이에 비해 스스로를 천지의 권능을 주관하는 하느님으로, 세상을 질서가 무너진 상황으로 인식한 증산의 구원론은 분명 다른 형태로 전개될 수밖에 없다. 즉 증산의 구원론은 이제 직접 그 하느님이 어그러진 세계 구원의 작업을 진행하여 우주 질서를 바로잡고 창생을 구제하는 일을 시행하는 것이며 그 구원의 작업이 바로 천지공사론이라 할 수 있다.

곧 인간으로 강세한 하느님이신 증산께서 천지의 주관자이며 삼계대권의 주재자로서 이제 직접 천지도수를 뜯어고치고 지상낙원의 이룩하기 위해 ‘공사(公事)’ 즉 ‘일’을 하셨으며 그 공사에 따라 세상사가 변화하며 전개될 것이라고 하셨다.10) 천지공사는 하느님이 세계와 인간을 구하시기 위해 인류 역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이루신 성스러운 구원의 작업이라고 교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천지공사론은 Encyclopedia of Religion의 ‘구원론’의 맥락에서 볼 때, 타력적 구원의 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인류의 구원과 후천선경의 도래는 증산의 천지공사가 아니고서는 이뤄질 수 없다. 증산께서는 ‘원시의 신성ㆍ불ㆍ보살들의 하소연’에 따라 그리고 “천지신명이 모여 상제가 아니면 천지를 바로 잡을 수 없다 하므로 괴롭기 한량없으나 어찌할 수 없이”11) 맡아 행하신 것이며, “천하 창생이 진멸할 지경”12)에 이를 정도로 급박하고 심각한 상황에서 강세하시고 천지공사를 행하셨다. 이러한 구원론은 자연의 변화 법칙처럼 자연스럽게 후천의 도래를 설명하고 있는 일부 김항의 정역사상과도 큰 차이점을 보인다.13) 즉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증산께서 행하신 천지공사가 아니면 천지는 진멸할 수밖에 없으며, 이 제생의세(濟生醫世)의 천지공사에 의해 천지의 질서가 바로 잡히고 창생은 선경에 동참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2. 종통과 구원론

증산의 천지공사가 세계와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하느님의 성업(聖業)이라고 한다면 인류는 구원에 이르기 위해서 어떠한 자세와 노력을 취해야 할 것인가? 즉 사람은 무엇을 해야 구원에 도달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에 이르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증산께서는 세계개벽과 후천선경의 도래 즉 세계구원의 작업이 당신에 의해 완결되는 것이 아니라고 말씀하셨으며, 또 난법과 진법에 대해 언급하시며 진법을 찾으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말씀을 하셨다.

①어느 날 상제께서 종도들에게 「너희들은 손에 살릴 생자를 쥐고 다니니 득의지추(得意之秋)가 아니냐 마음을 게을리 말지어다. 삼천(三遷)이라야 일이 이루어지느니라」고 이르셨도다.14)

②상제께서 어느 날 종도들과 함께 계실 때 「나의 일이 장차 초장봉기(楚將蜂起)와 같이 각색이 혼란스럽게 일어나되 다시 진법이 나오게 되리라」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도다.15)

③상제께서 교훈하시기를 「인간은 욕망을 채우지 못하면 분통이 터져 큰 병에 걸리느니라. 이제 먼저 난법을 세우고 그 후에 진법을 내리나니 모든 일을 풀어 각자의 자유의사에 맡기노니 범사에 마음을 바로 하라. 사곡한 것은 모든 죄의 근본이요, 진실은 만복의 근원이 되니라. 이제 신명으로 하여금 사람에게 임하여 마음에 먹줄을 겨누게 하고 사정의 감정을 번갯불에 붙이리라. 마음을 바로 잡지 못하고 사곡을 행하는 자는 지기가 내릴 때에 심장이 터지고 뼈마디가 퉁겨지리라. 운수야 좋건만 목을 넘어가기가 어려우리라.」16)

④세속에 전하여 내려온 모든 의식과 허례를 그르게 여겨 말씀하시길 「이는 묵은 하늘이 그르게 꾸민 것이니 장차 진법이 나리라」 하셨도다.17)

이 인용구절 중 ①에서 증산께서는 당신의 ‘일’ 즉 천지공사가 ‘삼천’이라야 이뤄진다고 말씀하셨는데, 대순사상에서는 이를 증산(甑山)-정산(鼎山)-우당(牛堂)으로 이어지는 종통계승의 과정 또는 무극도-태극도-대순진리회로의 종단의 역사적 변천과정으로 해석한다.18) 또 ②에서 “초장봉기와 같이 각색이 혼란스럽게 일어”난다는 말씀은 증산을 신앙하는 많은 종교단체 일명 증산계 신종교 교단의 번성을 의미한다고 보며, “진법이 나오게 되리라”는 말씀은 무극도-태극도-대순진리회로 이어지는 종교 운동의 발전으로 해석한다. ③의 구절에서 진법은 곧 진실한 법으로 이해되고 난법을 따르면 욕망에 의한 그릇된 법으로 구원에 이를 수 없음을 말씀하고 있다. ④에서는 전통의 종교의식이 잘못됨을 지적하시며 이후에 진법이 나타나게 될 것을 이르고 있다. 대순사상의 입장에서 여기서 말한 진법은 곧 증산으로부터 종통을 계승받은 정산(鼎山) 조철제(趙哲濟, 1895~1958) 도주(道主)께서 50년 공부(工夫) 종필(終畢)로써 마련한 법(法)으로 해석된다.19)

이러한 교리해석적 맥락에서, 구원의 길은 증산을 신앙하고 믿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진법을 찾고 그 진법에 의한 수행을 해야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증산을 신앙하는 많은 단체의 종교지도자 가운데 증산으로부터 종통을 계승받으신 정산께서 진법을 세우셨고 그 진법에 따라 수행을 해야 수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다른 말로 구원에 이를 수 있다. 다시 말해, 구원의 논리는 증산을 구천상제로 신앙하고 구천상제께서 행하신 인류구원의 작업인 천지공사를 이해하는 단계를 넘어서, 정산의 종통 계승과 정통성을 믿으며 정산께서 정하신 교리해석, 의례, 수행 등을 실천하는 것으로 발전 전개되는 것이다. 또 우당께서 정산으로부터 유명의 종통계승을 받으신 것을 확신하며, 우당께서 창설하신 대순진리회의 취지에 찬동하고, 우당께서 정립하신 대순진리회의 신앙체계와 신행의 준칙 등을 따르며 수행할 때 구원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증산-정산-우당으로 이어지는 계보라 할 수 있는 종통은 우당께서 남기신 훈시를 통해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종통이란 도의 생명이며 진리인 것입니다. 종통이 바르지 못하면 법이 있을 수 없고 경위가 바로 설 수 없으며 그러므로 그 속에서는 생명이 움틀 수 없으며 만물만상이 이루어 낼 수 없는 것입니다.… 『전경』에도 상제님께서 홀로 이룩하시는 것이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도의 연원은 구천상제님의 계시를 받으셔서 종통을 세우신 도주님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왔습니다.

위의 훈시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증산-정산-우당으로 계승된 종통을 통해서 진리체계가 세워지고 그 위에서 만상이 이뤄지고 성공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증산의 천지공사론과 함께 종통론은 구원론의 주요한 축을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대순진리회 신도들에게 구원의 길은 증산을 신앙하고 그 유지를 따르며 정산께서 짜 놓으신 유법에 따라 수행하고 또 우당께서 영도하시는 길에 따라 수행할 때 성취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3. 수행과 구원론

『대순진리회요람』에 “대순(大巡)하신 유지(遺志)를 계승(繼承)하여 五十년 공부(工夫) 종필(終畢)로써 전(傳)하신 조정산(趙鼎山) 도주(道主)의 유법(遺法)을 숭신(崇信)하여 귀의(歸依)할 바를 삼고자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를 창설(創設)한 것이다.”20)라고 되어 있는 것처럼, 대순진리회는 증산의 유지와 정산의 유법을 숭신하는 단체이다. 다시 말해 대순진리회는 증산께서 전하신 진리와 정산께서 세우신 교리체계와 의례를 봉행한다.

『대순진리회요람』에 의하면, 정산께서는 “강증산(姜甑山) 상제(上帝)의 대순진리(大巡眞理)에 감오득도(感悟得道) 하시고 종통계승(宗統繼承)의 계시(啓示)를 받으”21)셨으며, “상제(上帝)의 계시(啓示)에 따라 전국각지(全國各地)를 편력(遍歷) 수도(修道)하”22)셨고, 1925년에는 “전북 구태인 도창현(全北 舊泰仁 道昌峴)에 도장(道場)을 건설(建設)하시고 종단(宗團) 무극도(无極道)를 창도(創道)”23)하셨으며 종지 및 신조와 목적을 정하셨다. 그리고 1948년에는 “도본부(道本部)를 경상남도(慶尙南道) 부산시(釜山市)시에 설치(設置)하”24)셨으며, 1957년에 “도인(道人)의 각종(各種) 수도방법(修道方法)과 의식행사(儀式行事) 및 준칙(遵則) 등을 설법(設法) 시행(施行)하”25)셨다.

정산으로부터 유명에 의한 종통계승을 받으신 우당께서는 1969년 종단 대순진리회를 창설하셨다. 이후 우당께서는 대순진리회의 신앙체계를 정립하셨으며 신행의 준칙을 세우셨고 종단의 조직기구를 설립하시고 각 방면의 조직체계를 체계화 하시고 종단의 사업을 실시하셨다.

그렇다면 대순진리회에서 신도들은 어떻게 신행을 하여 구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인가? 대순진리회에서 개인이 추구하는 종교적 목적은 ‘도통(道通)’이라는 말로 표현될 수 있는데, 『대순지침』에서는 도통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수도는 인륜(人倫)을 바로 행하고 도덕을 밝혀 나가는 일인데 이것을 어기면 도통을 받을 수 있겠는가.26)

수도의 목적은 도통이니 수도를 바르게 하지 못 했을 때는 도통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27)

복록 성경신, 수명 성경신이라 하셨으니 복록 수명이 성경신에 있느니라.28)

내 마음을 거울과 같이 닦아서 진실하고 정직한 인간의 본질을 회복했을 때 도통에 이른다.29)

상제님의 말씀을 항상 마음에 새겨 언행과 처사가 일치되게 생활하여 세립미진(細入微塵)되고, 마음이 무욕청정(無慾淸淨)이 되었을 때 도통진경에 이르니라.30)

수도의 제 규정을 엄수하고 삿된 방법을 취하지 않아야 청정의 경지에 이르러 취정(聚精)이 되는 것이다.31)

이 인용문을 볼 때, 대순진리회의 수행은 신앙의 대상인 증산의 말씀을 실천하고 윤리도덕을 실행하는 것이며, 신도들은 마음을 닦아 깨끗한 인성을 회복했을 때 도통에 이르게 된다. 또 인용문에서 언급한 수도의 규정을 지키는 것은 정산께서 정하신 종지(宗旨)ㆍ신조(信條)ㆍ목적(目的)을 실천하는 것이며 또 훈회(訓誨)와 수칙(守則)을 생활화하고 신앙의 3대 원칙인 포덕ㆍ교화ㆍ수행을 행하는 것이며 또 규정된 주문을 봉송하는 것이다. 즉 대순진리회의 수행은 다각도로 접근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이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째, 수행은 대순진리회의 신조의 준수와 관련되어 있다. 신조는 대순진리회의 종지, 신조, 목적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를 먼저 살펴보겠다. 『대순진리회요람』의 ‘교리개요’에는 그 대강이 잘 언급되어 있다.

음양합덕(陰陽合德)ㆍ신인조화(神人調化)ㆍ해원상생(解冤相生)ㆍ도통진경(道通眞境)의 대순진리(大巡眞理)를 종지(宗旨)로 하여 성(誠)ㆍ경(敬)ㆍ신(信)의 삼법언(三法言)으로 수도(修道)의 요체(要諦)를 삼고, 안심(安心)ㆍ안신(安身) 이율령(二律令)으로 수행(修行)의 훈전(訓典)을 삼아 윤리도덕(倫理道德)을 숭상(崇尙)하고, 무자기(無自欺)를 근본(根本)으로 하여 인간개조(人間改造)와 정신개벽(精神開闢)으로 포덕천하(布德天下)ㆍ구제창생(救濟蒼生)ㆍ보국안민(輔國安民)ㆍ지상천국(地上天國) 건설(建設)을 이룩한다.32)

위 ‘교리개요’에 따르면, 대순진리회는 음양합덕ㆍ신인조화ㆍ해원상생ㆍ도통진경을 종지33)로 하고, 성ㆍ경ㆍ신의 삼요체를 수도의 핵심원리로 하며 안심ㆍ안신을 수행의 교훈으로 삼는다고 하였으며, 윤리도덕을 숭상하는 등의 내용을 이하로 하는 목적을 목표로 한다고 하였다. 대순진리회의 신조는 사강령과 삼요체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강령은 안심ㆍ안신ㆍ경천ㆍ수도이며 삼요체는 성ㆍ경ㆍ신35)이므로, ‘교리개요’의 내용은 곧 대순진리회의 종지와 신조 그리고 목적을 간결하게 표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바로 신조가 대순진리회의 수행론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jdaos-30-0-95-g1
그림 1. 신조
Download Original Figure

『대순지침』의 ‘Ⅱ.수도ㆍ공부’의 챕터에서 ‘제2장 신조에 의한 수도생활’의 장을 살펴보면, 우당께서는 ‘1절.사강령을 수행의 훈전으로 삼아 참된 도인이 되라, 2절.성ㆍ경ㆍ신 삼요체를 바르게 이해하고 수행하라’고 하셨다. 대략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마음의 발로에 사심을 버리고 예법에 합당케 행하는 것이 안심이다.”36), “상제님의 은혜에 감사하고 친은에 보답하는 심신일여의 수신이 되어야 한다.”37), “도인들이 구천상제님의 대순진리의 봉교신앙에 사려 없는 경건일념을 다하는 마음이 경천이다.”38), “성은 거짓이 없고 꾸밈이 없이 한결같이 상제님을 받드는 일이다.”39), “경은 예의범절을 갖추어 처신 처세하는 것이다.”40), “포덕ㆍ교화ㆍ수도 및 모든 일이 성경신을 떠나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41)라는 등의 말씀으로 사강령와 삼요체의 의미와 수행으로서의 실천적 내용을 전해주셨다. 이를 통해서 볼 때 신조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대순진리회 수행론의 한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대순진리회의 수행은 훈회ㆍ수칙의 준수와 신앙의 3대 원칙의 실천과 연관되어 있다. 『대순지침』의 ‘Ⅱ.수도ㆍ공부’의 ‘제1장 바른 수도생활’의 장을 살펴보면 ‘1절.도통은 닦은 바에 따라 주어지느니라, 2절.허령과 진강이 있음을 명심하라, 3절.지성으로 정심수신하라, 4절. 훈회와 수칙을 생활화하라, 5절.신앙의 3대 원칙에 따라 수행하라’고 되어 있다.42) 이 절의 목차와 세부 내용을 보면, 훈회ㆍ수칙43)의 준수와 신앙의 3대 원칙인 포덕ㆍ교화ㆍ수행의 실천이 바른 수도 생활의 표준으로 제시됨을 알 수 있다. 이중 훈회와 수칙이 신도들이 일상생활에 실천하여야 할 생활윤리의 측면이라면, 신앙의 3대 원칙은 포교 및 종교 교육44)이 수행의 주요한 핵심임을 말하고 있다.

특히 우당께서는 신도들의 포교 행위인 포덕(布德)에 대해 “포덕은 해원상생ㆍ보은상생의 양 원리인 대도의 이치를 바르게 알려 주는 것이다.”45), “포덕은 인도(人道)를 선도하여 윤리 도덕의 상도(常道)를 바로 이룩하는 것이다.”46), “해원상생 대도의 참뜻을 전하는 것이 포덕이며, 포덕천하가 되어야 광제창생이 되는 것이다.”47), “포덕이란 상제님께서 광구천하와 광제창생 하시려고 하신 9년간의 천지 공사를 널리 알려 지상낙원의 복을 받게 하는 일이다.”48) 등의 말씀을 통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셨다. 구원론과 연결시켜보면 포덕은 곧 남을 구원에 이르도록 안내하는 일이며 자기 수행을 핵심축이 된다.

그리고 우당께서는 교화에 대해서 “기본 교리를 상대에게 알기 쉽도록 이해시켜 진리를 확신케 하는 일이다.”49), “천리(天理)와 인사(人事)의 합일성을 밝혀 만상만유가 도 안에서 생성 존재하고 있는 진리를 확신케 하여야 한다.”50), “교화는 입도한 도인에게 밝은 재활(再活)이 불역(不易)의 천운구인(天運救人)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을 자인 자각케 하는 것이다.”51), “교화로써 도를 심심화(心深化)하고 수훈(垂訓)의 진법(眞法)을 행동 실천하여야 수도자의 입문이 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즉 남을 교화하는 수행을 통해 남을 잘되게 하라는 상생원리를 실천할 수 있고 자신 또한 교리 연구 및 교화 행위를 통해 대순진리를 심화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곧 포덕과 함께 진행되는 교화는 수행의 한 축이 되는 것이다.

셋째, 대순진리회의 수행은 송주(誦呪)와 관련되어 살펴볼 수 있다.52) 대순진리회 신도들은 가정에서의 일상 의례나 회관 또는 도장에서 실시하는 정기 의례 시 주문을 송독한다. 일부의 신도들은 송주를 하면서 마음이 평안해지거나 몸의 불편하였던 곳이 해소되는 등의 종교적 체험을 하기도 한다. 『대순진리회요람』에서는 수도를 송주와 직결하여 설명하기도 하였는데, 즉 “수도(修道)는 심신(心身)을 침잠추밀(沈潛推密)하여 대월(對越) 상제(上帝)의 영시(永侍)의 정신(精神)을 단전(丹田)에 연마(鍊磨)하여 영통(靈通)의 통일(統一)을 목적(目的)으로 공경(恭敬)하고 정성(精誠)하는 일념(一念)을 끊임없이 생각(生覺)하고 지성(至誠)으로 소정(所定)의 주문(呪文)을 봉송(奉誦)한다.”53)라고 하였다.즉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증산 상제를 모시는 정신을 단전에 연마하며 정해진 주문을 봉송하는 것이 수도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수도는 “공부와 수련과 평일기도와 주일기도로 구분”54)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여주본부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학ㆍ시법공부에 참여하거나 시간과 장소의 지정 없이(수련) 또는 시간과 장소를 정하여(기도) 주문을 송독하는 것이 곧 수도라는 말이다. 이 중 기도에 대해서 우당께서는 “기도라 하면 상제님 앞에서 주문을 읽는 것인데 엄숙하고 경건한 마음가짐과 단정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55)라고 말씀을 하시며 그 의미에 대해 말씀하기도 하셨다.

jdaos-30-0-95-g2
그림 2. 수도
Download Original Figure

공부나 기도 또는 수련 시 송독하는 주문에 대해서도, 우당께서는 “도를 닦는 행사에 있어서 주문이 제일 중요하다.”56)고 하셨고, “제일 먼저 익혀야 되는 것이 주문이다. 입도해서 제일 먼저 하는 것이 기도하는 것인데…”57)라고 하여 주문을 중시하셨다. 하지만 “수도하는 것은 마음과 몸을 닦되 일동일정에 실천하고 실행해나가는 것이 수도이지 이곳에 와서 주문을 한 시간씩 읽는 것이 수도가 아니다.”58)라고 하셨고 “주문만 읽어 되는 게 아니다. 마음을 고치고 수도해 나가는 것이 제일 중요한 일이다.”59)라고 하여 단지 송주만으로 수행이 온전해지지 않음을 지적하셨다. 즉 앞에서 언급한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수행의 요건이 충족될 때 수행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보더라도 송주가 대순진리회 수행의 주요한 축인 것은 부정될 수 없다. 한국불교에서는 참선과 송주 등을 행하고, 단학선원에서는 호흡 수련을 하는 등에 비추어 볼 때, 소정의 주문을 암송하는 것이 대순진리회의 주된 수행법인 셈이다.

넷째, 대순진리회의 수행에 있어 또 중요한 부분은 ‘체계’의 확립이다. 대순진리회에 입도한 모든 수도인은 “연원에 따라 입도 후 선도자와 연운의 상종관계가 성립”60)되며 특정한 방면에 소속되게 된다. 각 방면의 체계는 “선감ㆍ교감ㆍ보정, 교령ㆍ정무, 선사ㆍ교정ㆍ정리, 선무 및 일반 도인으로 구성”61)되며 “조직체계로서 포덕한 업적에 따른 연운(緣運)에 의”62)해 형성된다. 우당께서는 이 “체계질서를 바로 세우는 것이 도를 닦는 것이니, 경상애하(敬上愛下)의 융화로 단결하여야 한다.”63)라며 방면 조직에서의 수도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올바르게 하는 것을 수도라고 말씀하셨다. 또 “연운에 따른 포덕 업적에 따라 임원체계가 형성되며 이 체계는 본 종단을 이끌어 나가는 기본 체계가 되는 것입니다. 체계는 도심으로써 바로 확립이 되고 도심은 위 아래 도인들이 서로 믿으며 변하지 않고 신뢰”64)하는 것에 있다고 하여 포덕에 따른 연운의 체계가 대순진리회의 기본 체계이며 이는 도인들이 서로 신뢰하는 것에 있다고 하셨다. 즉 수도라는 것이 증산 상제에 대한 신앙과 송주만을 행한다고 완결되는 것이 아니라 소속된 방면 조직에서 수도인들 간에 신뢰와 화합에 있다고 하신 것이다.

종합해보면, 대순진리회의 수행은 첫째, 대순진리회의 신조를 실천하는 것에 있다. 둘째, 수행은 훈회ㆍ수칙을 생활화 하며 포덕과 교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 수행은 대순진리회 주문을 암송하는 것과 관련된다. 넷째, 수행은 신도들의 공동체인 방면 조직에서 서로 신뢰하고 화합하여 조직 체계를 바르게 하는 데에 있다. 한마디로 대순진리회의 수행은 증산에 대한 신앙 및 진법 수행과 더불어 방면에서 체계를 통한 수도인들 간의 상호 협력과 포덕ㆍ교화의 사업에 종사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대순진리회의 수행은 그 목적인 도통에 이르기 위한 것으로 곧 구원에 이르는 인간의 실천적 행위라 할 수 있다.

Ⅲ. 대순사상 구원론의 특성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은 첫째, 하느님의 인간 강세와 그 하느님께서 천지와 창생을 구하기 위해 삼계공사를 하셨다는 천지공사론, 둘째, 그 구원의 작업과 사명이 정산께로 전수되어 정산께서 증산의 유지에 따라 진법을 마련하시고 다시 우당께로 유명으로 종통이 계승되었다는 종통론, 셋째, 우당께서 증산의 유지와 정산의 유법을 숭신하고자 대순진리회를 창설하시고 수도인들에게 수행의 길을 제시하셨다는 수행론과 관련지어 살펴볼 수 있다고 2장에서 서술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은 한국종교사의 맥락에서 볼 때 어떠한 독특성을 지니는가? 3장에서는 한국종교의 전통과 견주어 대순진리회 구원론의 특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1. 인격적 지고신에 의한 구원

필자는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로 인격적 지고신(至高神)에 의한 구원이라 주목한다. 이 지고신과 관련하여 종교학자 엘리아데는 종교사에서 천상의 지고신이 전면에 나타나서 역할을 하는 종교형태는 드물며 다른 기능신에 의해 그 위치가 대체된 형태가 더 일반적이라고 하였다. 즉 천상의 지고신은 그 위대성, 초월성, 신성성을 유지하지만 일반적으로 종교적 인간은 지고신보다는 자신들과 가까운 하위신들을 찾는다는 것이다. 엘리아데는 이러한 천상의 지고신을 ‘게으른 신’이란 의미를 지닌 ‘데우스 오티오수스(deus otiosus)’라 명명하기도 하였다.65) 엘리아데의 맥락을 따른다면 세계종교사에서 기독교, 이슬람교 등 유일신교 전통을 예외로 하고 천상의 지고신은 천지를 창조한 위대하며 초월적인 신격이지만 그 후 인간 세계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잠자는 신, 잊혀진 신으로 경험되고 인식되었다.

이는 한국의 종교전통에서도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성리학이 전래ㆍ발전되면서 궁극적 실재의 대상도 천(天)보다는 ‘이(理)’ 개념이 대두되면서 천(天)의 인격성은 더욱 희미해졌다. 의례에 측면에서 천(天)은 주로 제사의 대상으로만 경험되었으며 더욱이 조선이 중국에 대한 제후국으로 책봉되면서 제천(祭天)은 오직 천자만이 설행(設行)할 수 있는 것이 되어 천(天)은 더욱 높고 멀어진 대상으로서 인식될 수밖에 없었다. 천제를 지낸다는 것은 예에 어긋난 음사(淫祀)로 인식되었기에, 천(天)의 종교적 신성성과 힘을 경험하고자 하는 이들(주로 반란의 무리들)은 숨어서 천제를 지내는 형태로 시행되었다.66) 그렇기 때문에 조선후기 인격적인 전지전능한 신을 신행의 중심으로 삼는 기독교의 전파와 확산은 한국인들에게 상당한 종교문화적 충격으로 다가왔던 것이다. 종교학자 정진홍은 이러한 기독교의 충격을 ‘테오스의 경험’이라 지칭하면서 기독교가 한국종교사의 흐름에 새로운 해답의 상징체계를 추가하였다고 하였다.67) 새롭게 도래한 기독교의 종교문화의 충격 이후 조선 말에는 동학을 필두로 한 신종교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동학에 대해 김종서는 동학의 창교주 최제우의 종교체험을 주목하면서 그의 종교체험은 한국 종교전통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종교체험의 유형으로 보았다.68) 구체적으로 그 종교체험을 “본격적으로 새로운 인격신 개념을 기반으로 일신교적인 종교를 감히 창교할 만큼 독특한 카리스마”69)라고 평가하였다. 즉 동학의 경전인 『동경대전』에서 최제우는 ‘상제(上帝)’를 뵙고 문답하는 종교체험을 하였는데, 이렇게 인격신(personal God)으로부터 계시를 받는 종교유형은 한국종교전통의 맥락에서 매우 독특한 형태라는 것이다. 최종성은 “수운이 대면한 하느님은 그간 방기되었던 인간의 삶에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열정적으로 삶의 질곡을 치유하고 활력 넘치게 세상사를 조율하는 하느님이라는 점에서 ‘데우스 인두스트리우스(deus industrius)’라 부를 수 있다.”70)라고 기술하며 수운의 경험한 하느님을 기존의 ‘데우스 오티오수스(deus otiosus)’와는 다른 ‘능동적으로 일하시는 하느님’으로 보았다.

대순사상에 따르면 증산께서는 인신으로 강세하시기 전 최제우에게 제세대도를 내리셨으나 그가 대도의 참뜻을 밝히지 못하므로 천명과 신교를 거두시고 직접 강세하시게 되었다.71) 그러므로 수운의 종교체험에서 현현한 ‘상제’는 곧 증산이시다. 수운의 종교체험에서 예시된 것처럼 증산께서는 ‘일 하시는 하느님’으로서 인간의 형상으로 현현하시어 세계 구원의 작업을 실시하셨다.

이렇게 하느님이 인간의 몸으로 직접 나타나 세계 구원의 작업 즉 천지공사를 시행하였다는 교리는 한국종교의 역사상 매우 독특한 신앙체계라 할 수 있다. 김종서는 “인간이 스스로 신적인 카리스마를 지니는 이른바 초월적 ‘화신(化身)’ 개념이 완성된 것은 한국종교의 역사상 강일순에서 처음이다.”72)라고 평가하면서 신도들은 증산을 인간이 신이 된 것(化神)이 아닌 본래 신이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이는 기독교의 성육신(incarnation) 개념과 상통한다고 하였다.73)

기독교의 경우, 삼위일체론에 따라 성자인 예수가 성부와 동일위격이나 기독교의 신앙체계와 구원론이 성자인 예수 그리스도와 연결되어 형성되었다. 즉 기독교에서는 구원이 기본적으로 예수의 삶과 죽음과 부활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며 구원의 완성을 예수와 연결지어 온 것이 기독교 신학의 전통이었다.74) 또 구원의 근거를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삼으며, 십자가의 의미를 희생으로서의 십자가, 승리로서의 십자가, 십자가와 용서, 도덕적 본보기로서의 십자가 등으로 해석하여왔다. 희생으로서의 십자가는 예수가 인류의 죄를 대속하여 희생이 되었으며 자신을 고난의 십자가 위에서 완전한 번제물이 되었다는 것이며, 승리로서의 십자가는 부활한 예수가 악의 권세를 이기고 승리함으로써 인간에게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는 믿음을 말하며, 십자가와 용서는 예수의 죽음이 하나님이 인간의 죄를 용서할 수 있는 토대를 낳았다는 개념이고, 도덕적 본보기로서의 십자가는 예수의 죽음이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증명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다.75)

인격적 지고신에 의한 구원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은 이(理), 도(道), 법(法) 등으로 표현되는 우주 자연의 섭리를 궁극적 실재이자 중심원리를 삼은 동양종교전통보다는 기독교에 보다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기독교의 구원론이 성자인 예수를 중심으로 구성되고 있음에 비해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은 지고신이 직접 인간으로 화현하였으며 인간 세계를 아우른 천ㆍ지ㆍ인 삼계를 주재함을 표명하고 있다. 즉 중보자(中保者, Mediator)를 통하지 않는 지고신의 직접적 섭리이며, 지고신이 ‘일하시는 하느님’으로서 삼계개벽과 창생구제의 성업을 계획하시고 시행하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격적 지고신께서 삼계개벽과 창생 구원을 위해 인간의 형상으로 현현하셔서 직접 천지공사를 하셨다는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은 인격적 신보다 우주 자연의 법칙을 종교적 중심원리로 하였던 동양종교 및 한국종교전통의 맥락에서도 독창적인 교리이며 서구의 기독교 전통과도 다른 특징적인 신념체계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 우주 자연 법칙의 변화를 통한 구원

증산의 천지공사론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개념 중 하나는 바로 ‘도수’76)이다. 『전경』 공사 3장 1절에 의하면 천지공사와 관련하여 “천지의 도수를 정리하여 신명을 조화하여 만고의 원한을 풀고 상생의 도로 후천의 선경을 세워서 세계의 민생을 건지려 하노라.”라고 말씀하셨다. 『전경』에는 ‘도수’가 총 75번 나올 정도로 빈번히 쓰였는데, 그 용례를 살펴보면 ‘천지공사의 도수’, ‘천지의 도수’, ‘천지도수’, ‘상극도수’, ‘선천의 도수’, ‘도수를 뜯어고치고’, ‘도수를 정리하시고’, ‘도수를 써서’, ‘도수를 맡으려면’, ‘도수가 그릇되어’, ‘도수에 따라’ 등으로 표현되었다. 필자의 연구에 따르면 전통문헌에서 ‘도수’는 가)천지자연의 법칙 나)사회제도 다)예의 절차 라)천제 운행의 수치 등의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전경』에서는 가)우주 자연의 법칙이나 원리 나)천지공사의 구체적 목록 다)천지법칙의 변화 과정이나 절차의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음을 밝혔다.77)

특히 ‘도수’ 개념에 담긴 법칙이라는 의미를 주목하며 증산께서는 천지공사와 관련하여 ‘도수’에 대해 말씀하신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증산께서는 선천의 도수를 뜯어 고치셨고78), 천지의 도수를 정리하셨으며79), 천지의 도수를 조정80)하셨고, 도수를 굳건히 하여 조화하셨으며81), 하늘도 땅도 뜯어 고쳐 물샐틈없이 도수를 짜놓으셨다.82) 도수를 법칙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이는 곧 우주의 법칙을 뜯어 고치고, 정리하고, 조정하고, 조화하며 새로운 법칙을 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증산께서는 ‘선천의 도수’, ‘상극 도수’라는 표현을 사용하셨는데, 이는 곧 선천 세상의 우주자연의 법칙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상극지리’83)라는 표현도 선천의 상극의 원리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증산의 천지공사는 곧 우주 자연의 법칙과 원리를 고치고 바꾸어 ‘상극지리’와 대별되는 새로운 ‘상생지리’를 만들어 여신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할 것이다.

필자는 이렇게 우주 자연의 법칙이 뜯어 고쳐야 할 대상이 될 정도로 질서에서 벗어나 있다는 사유, 그리고 그것을 바로 잡아 고쳐 새로운 후천도수를 짜야 한다는 교리는 독창적인 세계인식이자 특징적인 구원론적 사유라고 본다. 왜냐하면, 동양종교의 전통에서 우주 자연의 법칙이자 원리는 완전무결한 것으로 이해되며 인간의 사심, 욕망, 무지 등으로 인하여 그것을 인식하거나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구원의 상태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이해되어왔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성리학의 집대성자 주자가 말한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欲)’이란 언설에서도 “인욕을 제거하고 천리를 보존한다”라고 풀이되는 것처럼, 유가 수행의 목적은 인간의 삿된 욕망을 제거하고 천리 즉 우주적 법칙을 내재화 하는 것이다. 즉 천리 또는 이(理)로 표현되는 자연의 섭리 및 법칙은 절대적 지선(至善)이자 성인 또는 군자가 되고자 하는 인간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근원적 원리이다. 다만 범인은 기가 순화하지 못하여 또는 하늘이 품수한 천성이 사욕에 가려져 천리를 지니지 못하거나 천리가 발현되지 못하는 것이다. 불교 전통에서도 반야(般若) 즉 지혜로써 무지와 번뇌를 극복하였을 때 다르마(dharma) 즉 법(法)을 깨닫게 된다. 번뇌와 고통은 인간의 무지와 욕망으로 인한 것으로 인간은 이러한 무지와 욕망 때문에 자아와 세계를 올바르게 바라보고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불법의 진리를 통해 만물의 실상을 여실하게 보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동양종교전통의 사유와 다르게 증산께서는 “묵은 하늘은 사람을 죽이는 공사만 보고 있었도다. 이후에 일용 백물이 모두 핍절하여 살아 나갈 수 없게 되리니 이제 뜯어고치지 못하면 안 되느니라.”84)고 말씀하시며, 궁극적 실재이자 지선(至善)의 본원으로서의 천(天) 개념과는 다른 하늘 개념을 보이셨다. ‘묵은 하늘’은 곧 사람을 죽이는 일만 하였던 하늘이며, 상극 또는 상극지리에 의해 인간 사물이 지배받았던 ‘선천(先天)’을 이른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천’은 ‘후천’과 대비되어 증산께서 천지공사를 하시기 이전까지의 우주를 뜻하는 시간적 의미를 내포하기도 하지만, ‘이전의 하늘’ 또는 ‘묵은 하늘’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증산께서는 선천에서는 상극, 상극도수, 상극지리가 만물을 지배하였으며 도수가 그릇되었다고 말씀하셨다. 즉 인간과 사물을 섭리하는 우주 자연의 법칙에 문제가 생겼으며, 이러한 문제(상극의 지배)로 인해 세상에 원한이 쌓이고 맺혀 삼계를 채우고 세계는 참혹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인간의 고통, 죄악, 모순 등의 문제가 인간 그 자체의 무지, 사욕 등의 원인에 의해서만 발생된 것이 아니라 인간을 둘러싼 자연 법칙의 오류도 주된 원인 중 하나임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인간의 죄악을 신에 뜻에 순종하지 아니하여 생긴 원죄로 인한 것으로 보고 신의 은총에 의한 구원을 모색하는 기독교 전통과도 견주어 볼 때 다른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증산께서는 이러한 세계 인식 아래 천지의 법칙을 고치고, 정리하고, 조정하고, 조화하여 새로운 우주원리와 법칙을 즉 상생의 원리로 운영되는 후천 선경을 여시고자 천지공사를 행하신 것이며 이러한 구원론은 다른 종교전통과 다른 대순사상만의 독창적인 교리라 볼 수 있을 것이다.

3. 해원 원리에 의한 구원

대순진리회 교리체계의 핵심을 담고 있는 『대순진리회요람』의 ‘취지’에는 대순진리회 구원론의 핵심 사상이 잘 드러나 있다.

무상(無上)한 지혜와 무변(無邊)의 덕화와 위대한 권능의 소유주이시며 역사적 대종교가(大宗敎家)이신 강증산(姜甑山)성사(聖師)께옵서는 구천대원조화주신(九天大元造化主神)으로서 삼계대권(三界大權)을 주재(主宰)하시고 천하를 대순(大巡)하시다가 인세(人世)에 대강(大降)하사 상도(常道)를 잃은 천지도수(天地度數)를 정리(整理)하시고 후천(後天)의 무궁한 선경(仙境)의 운로(運路)를 열어 지상천국을 건설하고 비겁(否劫)에 쌓인 신명(神明)과 재겁(災劫)에 빠진 세계창생을 널리 건지시려고 순회주유(巡回周遊)하시며 대공사(大公事)를 행하시니 음양합덕(陰陽合德) 신인조화(神人調化) 해원상생(解冤相生) 대도(大道)의 진리로써 신인의도(神人依導)의 이법(理法)으로 해원(解冤)을 위주(爲主)로 하여 천지공사(天地公事)를 보은(報恩)으로 종결(終結)하시니 해원(解冤) 보은(報恩) 양원리(兩原理)인 도리로 만고(萬古)에 쌓였던 모든 원울(冤鬱)이 풀리고 세계가 상극(相克)이 없는 도화낙원(道化樂園)으로 이루어지리니 이것이 바로 대순(大巡)하신 진리인 것이다.85)

위의 취지문에 따르면, 구천대원조화주신이신 증산께서 신명과 창생을 구하시기 위해 천지공사를 행하셨으며, 대순진리회의 종지인 음양합덕ㆍ신인조화ㆍ해원상생의 진리로써 해원을 위주로 하여 천지공사를 보은으로 마치셨고, 이러한 해원과 보은의 양 원리로써 만고에 쌓였던 모든 원한이 풀려 세계가 상극이 없는 지상천국이 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말씀을 통해서 볼 때 해원은 천지공사의 주된 원리이며 보은은 천지공사의 종결 원리로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해원은 세계의 원울(冤鬱)을 해결하여 지상천국을 여는 구원론의 핵심 원리로 이해되고 있는 것이다.

『전경』에는 많은 구절에서 ‘해원’의 용례가 나타나고 있다. 주된 용례 중 하나는 ‘○○의 해원’ 또는 ‘○○를 해원’한다는 구절을 찾아볼 수 있다. 즉 증산께서는 전명숙과 최수운86) 그리고 단주를 해원하셨으며87), 진시황의 해원도수를 보셨고88), 중국의 해원공사를 행하셨다.89) 그리고 왕후장상의 해원90)과, 신인의 해원에 대해 언급하셨고91), 만고 역신을 해원하여 성수에 붙여 보내셨으며92), 진묵을 해원시키셨다.93) 이 외에도 여러 용례를 종합해 볼 때 해원의 대상은 단주, 진시황과 같은 역사적 인물, 각색의 새와 각종의 짐승, 신과 신명, 국가 등 천지 안의 모든 존재와 무리를 망라하고 있다. 여기서 쓰인 해원의 대체적인 의미는 해원의 대상들이 원통함을 풀고 각각의 소원을 이루며 궁극적으로는 후천의 지상낙원에 참여하게 됨을 뜻한다.

또 다른 용례로 ‘해원시대’라는 용례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관련 내용을 보면, 이제는 해원시대이므로 남녀의 분별을 틔워 제각기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풀어놓았으나 이후로는 건곤의 위치를 바로잡아 예법을 다시 세운다고 하셨으며94), 해원시대를 당하였으니 천한 사람에게 먼저 교를 전한다고 하셨고95), 지금이 해원시대이며 양반의 인습을 버리고 천인을 우대하여야 척이 풀려 빨리 좋은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씀하였다96). 그리고 해원시대를 맞이하여 명색이 없던 사람이 기세를 얻고 땅도 버림 받던 땅에 기운이 돌아온다고 하셨으며97), 선령신들이 해원시대를 맞이하여 선자 선손을 척신의 손에서 빼내어 내세운다고 말씀하셨다.98) 또 해원시대이므로 덕을 닦고 사람을 올바르게 대우하라고 하셨으며99), 해원시대를 당하여 악을 선으로 갚아야 한다고 말씀하셨다.100) 이 용례에서 해원은 대략적으로 선천 상극시대의 부조리하거나 불합리한 상태에서 벗어나 후천선경에 동참하여 소원을 이루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외에 ‘해원’은 서로 간의 맺힌 척을 풀어 갈등과 반목의 상태가 아닌 상생의 상태로 나아가는 의미가 있다. 『전경』에는 촌양반과 읍내 아전의 반목을 한 예로 설명하면서 그것을 푸는 해원에 대해 언급되어있다.101) 또 우당께서는 “해원(解冤)은 척(慼)을 푸는 일이며 척을 맺는 것도 나요 푸는 것도 나라는 것을 깨닫고 내가 먼저 풀므로써 상대는 스스로 풀리게 되니, 양편이 척이 풀려 해원이 되고 해원이 되어야 상생이 된다는 것을 깊이 깨달아야 할 것이다.”102)라고 말씀하시며 해원이 곧 자신과 상대 간에 맺힌 척을 푸는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이런 용례를 종합해 볼 때, 해원은 첫째, 지고신으로서의 증산께서 당신의 권능과 덕화로써 원한이 맺힌 존재나 대상을 위무하고 질적으로 변화시켜 후천선경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두 대대적인 상대 간에 맺힌 증오와 원한 또는 척을 풀어서 상호 이해하고 상생공존하게 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모든 존재가 증산의 덕화 안에서 궁극적으로 자기 완성을 이루어 후회와 원망이 없게 하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대순사상에서 모든 존재의 궁극적 자기 완성은 ‘도통’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개별 존재의 도통과 천지 환경의 ‘도통진경(道通眞境)’의 상태에 이르는 것이 궁극적 해원의 원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원의 의미는 특히 『포덕교화기본원리2』103)에서 잘 나타나 있다.

①선천 수만 년 동안 상극(相克)이 인간 사물을 지배하여 모든 인사(人事)가 도의(道義)에 어긋나서 원한이 맺히고 쌓여 삼계에 넘쳐서 마침내 살기가 터져 나와 세상의 모든 참혹한 재앙을 일으켜 드디어 세상을 폭파할 지경에 이르러 상제께서 삼계공사(三界公事)를 행하사 극(極)에 달한 신계(神界)와 인계(人界)의 원한을 풀어 주시고 앞으로는 그러한 원한이 다시는 생기지 않도록 법리를 마련하여 인간을 개조(改造)하여서 세상을 화평되게 섭리하셨다.

②여기서 해원상생(解寃相生)의 대의(大義)를 좀 더 부연하면 인간은 자기 도량에 따른 기획의 설계가 의욕(意慾)의 발동이다. 그 의욕의 발동은 행동으로 나타난다. 즉 기획과 설계의 행동이 의욕의 발동인데 이 인간의 의욕이란 제한이 없어서 허영과 야망으로 넘쳐 허황된 꿈으로 사라지기 쉽다. 이와 같이 허황된 꿈으로 화하면 드디어 실망과 후회는 물론 자기도 남도 원망하게 되어 한을 품게 되는 것이다. 인생의 생사존망(生死存亡)에는 협동도덕이 기본이 되어 있으므로 무엇보다 인간의 의욕(意慾) 발동을 반성하고 조정하여 수심연성(修心煉性)으로 허영과 야망을 경계하고 분수에 합당케 하여 후회 없이 하는 것이 해원(解冤)의 묘사(妙事)이다.

③즉 서로가 분수를 망각하고 허영과 야망으로만 일관(一貫)하게 되면 급기야는 피해를 입게 되어 원망이란 척이 생겨 풀지 못할 원한을 맺게 된다.…상제께서 속담에 ‘무척 잘 산다’ 이르나니 척(慼)이 없어야 잘 산다는 말이다…등등의 말씀은 해원상생(解冤相生)의 윤리(倫理)를 생활화(生活化)하여 실천토록 하신 것이다. 따라서 상제께서는 이와 같은 해원상생의 윤리를 천하만민으로 하여금 생활화하여 실천케 해서 온 세계가 상생(相生)의 화평세계(和平世界)를 건설토록 하셨다.

위 『포덕교화기본원리2』에 실린 내용을, 세 부분으로 나눌 때, ①의 내용은 증산께서 천지공사를 행하셔서 신계와 인계의 원한을 풀고 앞으로는 원한이 생기지 않도록 새로운 법칙을 마련하셨다는 것이다. ②의 내용은 앞에서 말한 해원의 셋째 의미로서, ①의 말씀이 해원 즉 해원공사의 주체이신 증산의 성업(聖業)을 설명한 것이라면 ②는 인간의 수행과 실천을 통한 해원을 말하고 있다. 즉 지고신이신 증산께서 삼계공사를 하셔서 인간이 드디어 해원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셨고 이제 인간이 그 뜻에 따라 수심연성(修心煉性)의 수행을 하였을 때 해원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③에서는 해원상생의 실천 윤리라 할 수 있으며 개인의 수행을 넘어서 타인 간, 상호 간의 척을 풀어서 상생에 이르는 해원의 의미를 말하고 있다.

이렇게 ‘해원’은 대순사상에서 증산께서 신계와 인계를 구원하시기 위한 천지공사의 핵심 원리이자, 인간에게 가르쳐 주신 수행과 실천의 중심 원리로 이해되고 있다. 초기불교에서 고(苦)가 인간 존재의 근원적 문제로서 제기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진리로써 사성제와 팔정도가 제시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인간의 원죄의 문제가 핵심 담론으로 제기되며 믿음으로써 죄사함을 받아 의로운 사람이 된다는 이신칭의(以信稱義)의 개념이 주요 교리로 설정된 것을 생각해 볼 때, 대순진리회에서 근본 문제를 죄나 고가 아닌 원한으로 이해하고 구원 논리로써 해원을 제시하는 것은 대순진리회만의 독창적인 구원론이라 할 수 있다.

Ⅳ. 결론

종교를 수용하고 소비하는 신자들의 입장에서 특정 종교의 구원론은 해당 종교에 대한 뚜렷한 표식으로 작용한다. 한국종교 상황에서, 사람들은 예수를 믿고 구원을 받고자 교회에 출석하며 업장을 벗고 마음의 평안을 얻고자 사찰에 가고 자신과 가정의 신수를 보고 미래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점을 보러 간다. 구원론(soteriology)이라는 용어 안에 종교가 제시하는 고통에 대한 치유(healing), 해방(liberation), 구원(salvation)을 통합적으로 논의할 수 있으며 이 구원론을 통해 특정 종교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고 그 종교는 신자에게 어떠한 종교적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지 살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종교 운동은 기성종교가 제대로 된 구원의 기능을 못하였을 때 일어나는 새로운(new) 대안적(alternative) 종교운동으로 신종교가 제시하는 종교적 상품이 기성종교를 대체할 만큼 뚜렷이 효과적이고 그 메시지가 강력할 때 성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기성종교의 구원론이 민중에게 충분한 희망을 제시하지 못할 때, 상당수의 민중들은 신종교의 구원론에 공감하며 동참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주요한 신종교 중 하나인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종교와 한국 신종교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순사상의 구원론이 먼저 천지공사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천지공사론은 증산사상 및 대순사상의 독창적 교설로 지고신이 인간의 몸으로 현현하시어 신계(神界)와 인계(人界)를 구하시기 위한 작업인 삼계공사(三界公事)를 시행하셨다는 것이다. 이러한 천지공사는 증산께서 스스로를 구천에서 강세하신 ‘상제’라고 인식하시며, 세계는 진멸 상태에 임박해 있다는 세계 인식을 토대로 우주와 창생을 구하시기 위한 일련의 작업이다. 둘째로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종통론을 토대로 전개된다. 증산의 세계구원의 작업은 계시로써 종통을 계승받은 정산과 유명으로 종통을 계승받은 우당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순진리회 수도인들은 증산의 유지를 토대로 정산께서 짜신 유법에 따라 수행하며 우당께서 영도하시는 길에 따라 신행할 때 도통에 이를 수 있다고 믿는다. 셋째, 구원의 방법과 조건으로 수행론이 마련되어 있다. 구원은 수동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구원 즉 도통에 도달하기 위해 주어진 수행의 규정을 올바로 실천하였을 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한국종교사의 맥락에서 여타의 종교전통과 다른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한국의 전통종교 전통에서는 유래가 없는 인격적 지고신에 의한 구원을 제시하고 있는 점이다. 둘째, 자연의 섭리 및 법칙을 자각하고 내재화 하려는 전통종교의 수행 및 세계관과는 달리 증산께서는 우주의 법칙에 오류가 있었다고 하시면서 이러한 우주법칙을 고치고 변화시켜 새로운 후천 원리를 열었다고 하셨다. 따라서 수행도 증산으로부터 종통을 계승받으신 정산의 법에 의해서 수행을 하여야 구원에 이를 수 있다. 셋째, 세계 모순과 멸망의 원인을 원과 한으로 보고 이것을 해결하는 해원의 원리를 구원론의 핵심으로 하는 점이다. 욕망, 죄, 고(苦)를 근본 문제로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구원론을 제시하였던 기성종교와도 비교해 볼 때 대순사상만의 독창적인 교리체계라 할 수 있다.

Footnotes

5. 기존의 천지공사론에 대한 연구는 주로 천지공사를 공사별로 분류하거나 천지공사론의 사상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 위주였다. 예를 들어 장병길은 저서에서 천지공사를 인기(人起)공사, 천개(天開)공사, 지벽(地闢)공사로 분류하였고, 이경원은 천계(天界)공사, 지계(地界)공사, 인계(人界)공사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또 이경원은 천지공사론의 사상적 특질로 후천개벽사상, 인존사상, 평등ㆍ평화사상, 문명통일사상을 제시하였다. (장병길, 『천지공사론』,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서울: 문사철, 2012 참조) 기존 연구를 통해서 볼 때, 천지공사론을 구원론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논의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7. 『전경』, 교운 1장 9절.

8. 같은 책, 예시 1절.

9. 같은 책, 공사 1장 2절.

10. 같은 책, 예시 16절, “상제께서 이 세상에 오시어 도수로써 하늘도 뜯어고치고 땅도 뜯어고치어 물샐틈없이 도수를 짜 놓으셨으니 제 한도에 돌아 닿는 대로 새 기틀이 열리게 되니라.”

11. 같은 책, 공사 1장 9절.

12. 같은 책, 교법 1장 1절.

14. 『전경』, 예시 78절.

15. 같은 책, 교운 1장 42절.

16. 같은 책, 교법 3장 24절.

17. 같은 책, 교법 1장 18절.

19. 대순진리회의 종통론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는 ‘같은 글’ 참조.

20. 『대순진리회요람』, p.9.

21. 같은 책, p.12.

22. 같은 책, p.12.

23. 같은 책, p.12.

24. 같은 책, p.12.

25. 같은 책, p.13.

26. 『대순지침』, p.37.

27. 같은 책, p.37.

28. 같은 책, p.38.

29. 같은 책, p.38.

30. 같은 책, p.39.

31. 같은 책, p.40.

32. 『대순진리회요람』, p.14.

33. 대순진리회의 종지에 대해서는 『대순사상논총』 제2집(음양합덕), 제3집(신인조화), 제4집(해원상생), 제5집(도통진경), 제6집(종지 전반)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34. 사강령에 관한 연구는 『대순사상논총』 제7집(안심ㆍ안신), 제8집(경천ㆍ수도)을 참조할 수 있으며, 삼요체에 대한 연구는 『대순사상논총』 제9집(성), 제10집(경), 제11집(신), 제12집(삼요체 전반)에서 논의되었다. 사강령과 삼요체에 대한 논의는 이를 참조할 수 있으며 분량 관계상 본 논문에서는 대략적인 내용만 살펴보고자 한다.

35. 『대순진리회요람』, pp.14-17.

36. 『대순지침』, p.48.

37. 같은 책, p.50.

38. 같은 책, p.50.

39. 같은 책, pp.51-52.

40. 같은 책, p.52.

41. 같은 책, p.54.

42. 같은 책, pp.42-46.

43. 훈회는 “1)마음을 속이지 말라. 2)언덕(言德)을 잘 가지라. 3)척(慼)을 짓지 말라. 4)은혜를 저버리지 말라. 5)남을 잘되게 하라.”이며, 수칙은 “1)국법(國法)을 준수하며 사회도덕(社會道德)을 준행(遵行)하여 국리민복(國利民福)에 기여(寄與)하여야 함. 2)삼강오륜(三綱五倫)은 음양합덕(陰陽合德), 만유조화(萬有造化) 차제도덕(次第道德)의 근원(根源)이라.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忠誠)하며, 부부화목(夫婦和睦)하여 평화로운 가정을 이룰 것이며, 존장(尊丈)을 경례(敬禮)로써 섬기고, 수하(手下)를 애휼(愛恤) 지도(指導)하고, 친우 간(親友間)에 신의(信義)로써 할 것. 3)무자기(無自欺)는 도인의 옥조(玉條)니, 양심을 속임과 혹세무민(惑世誣民)하는 언행(言行)과 비리괴려(非理乖戾)를 엄금(嚴禁)함. 4)언동(言動)으로써 남의 척(慼)을 짓지 말며, 후의(厚意)로써 남의 호감(好感)을 얻을 것이요. 남이 나의 덕을 모름을 괘의(掛意)치 말 것. 5)일상(日常) 자신을 반성하여 과부족(過不足)이 없는가를 살펴 고쳐 나갈 것.”이다. 『대순진리회요람』, pp.18-21.

44. 대순진리회의 종교 교육에 대해서는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종교 교육」, 『종교연구』 62 (2011) 참조.

45. 『대순지침』, p.19.

46. 같은 책, p.19.

47. 같은 책, p.21.

48. 같은 책, p.21.

49. 같은 책, p.44.

50. 같은 책, p.45.

51. 같은 책, p.22.

53. 『대순진리회요람』, p.18.

54. 같은 책, p.18.

55. 1988년 8월 우당 훈시, 『훈시』 (대순진리회 내부 자료)

56. 1992년 4월 우당 훈시, 같은 책.

57. 1991년 7월 우당 훈시, 같은 책.

58. 1981년 1월 우당 훈시, 같은 책.

59. 1983년 4월 우당 훈시, 같은 책.

60. 『대순지침』, p.15.

61. 같은 책, p.63.

62. 같은 책, p.64.

63. 같은 책, p.65.

69. 같은 글, p.29.

70. 최종성, 『동학의 테오프락시』 (서울: 민속원, 2009), p.31.

71. 『전경』, 교운 1장 9절 참조.

72. 김종서, 앞의 글, p.30.

73. 같은 글, p.30.

77. 같은 글, pp.217-226.

78. 『전경』, 공사 1장 2절.

79. 같은 책, 공사 1장 3절.

80. 같은 책, 공사 3장 5절.

81. 같은 책, 공사 1장 3절.

82. 같은 책, 교법 3장 4절.

83. 같은 책, 교법 3장 34절.

84. 같은 책, 공사 1장 11절.

85. 『대순진리회요람』, p.8.

86. 『전경』, 공사 3절 2절.

87. 같은 책, 공사 3장 6절.

88. 같은 책, 공사 3장 17절.

89. 같은 책, 공사 3장 18절.

90. 같은 책, 공사 2장 19절.

91. 같은 책, 교운 1장 17절.

92. 같은 책, 교법 3장 6절.

93. 같은 책, 권지 2장 37절

94. 같은 책, 공사 1장 32절.

95. 같은 책, 교운 1장 32절.

96. 같은 책, 교법 1장 9절.

97. 같은 책, 교법 1장 67절.

98. 같은 책, 교법 2장 14절.

99. 같은 책, 교법 2장 20절.

100. 같은 책, 교법 3장 15절.

101. 같은 책, 공사 1장 25절.

102. 『대순지침』, p.27.

103. 『포덕교화기본원리』 2, p.5.

참고문헌(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포덕교화기본원리2』,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03

5.

『훈시』 (대순진리회 내부 자료)

6.

「도전님 훈시」, 『대순회보』 10,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8

7.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종교 교육」, 『종교연구』 62, 2011

8.

김종서, 「동서 종교간 충돌과 현대 한국의 역동적 신앙」, 『종교와 문화』 16, 2009

9.

M.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이은봉 옮김, 서울: 형설출판사, 1981

10.

박승식, 「대순사상의 이상세계」, 『대순사상논총』 15, 2002

11.

박인규, 「한국 불교 진언과 대순진리회 주문의 비교 연구」, 『대순사상논총』 22, 2014

12.

박인규, 「주문의 수행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불교와 신종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13.

박인규, 「대순진리회 종통론의 특성 연구」, 『대순사상논총』 24-2, 2015

14.

박인규, 「대순사상의 도수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28, 2017

15.

알리스터 맥그레스, 『신학이란 무엇인가』, 김기철 옮김, 서울: 복있는사람, 2014

16.

알리스터 맥그레스, 『역사 속의 신학』, 김홍기ㆍ이형기ㆍ임승안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17.

양무목, 「구원 진리로서의 음양합덕과 민주주의」, 『대순사상논총』 2, 1996

18.

양무목, 「구원사상으로서의 신인조화」, 『대순사상논총』 3, 1997

19.

양무목, 「수도의 본질과 방법에 관한 고찰」, 『대순사상논총』 8, 1999

20.

양무목, 「대순사상에 의한 민주주의 실현과 인류 구원의 모색」, 『대순사상논총』 10, 2000

21.

오인문, 「종교화합과 구원의 진리-도통진경」,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22.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서울: 문사철, 2012,

23.

이경원, 「구천상제론의 시각에서 본 천지공사의 실제와 교리적 의의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2, 2014

24.

이항녕, 「신인조화 사상의 현대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3, 1997

25.

장병길, 『천지공사론』,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26.

정진홍, 『한국종교문화의 전개』, 서울: 집문당, 1986

27.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 연구」, 『종교연구』 60, 2010

28.

최종성, 「숨은 천제」, 『종교연구』 53, 2008

29.

Ninian Smart, "Soteriology", Encyclopedia of religion vol.11, Macmillan Reference USA,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