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통일 기반 사상으로서의 해원상생: 남북 분단의 해소와 한민족 통합을 위한 모색

양무목1,
1정치학 박사 ㆍ 한국정치문화연구소 소장
Corresponding Author : 양무목

ⓒ Copyright 1998,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Feb 28, 1998

목차

  • Ⅰ. 연구의 시각

    • 1. 연구의 필요성과 제한점

    • 2. 분단 상황의 심화 과정과 남북 갈등

    • 3. 진정한 통합과 통일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해원상생

  • Ⅱ. 인간의 일반적 욕구와 갈등

    • 1. 욕구의 다양성

    • 2. 갈등의 다양성

    • 3. 욕구와 갈등 관계

  • Ⅲ. 대순사상에 나타난 해원상생

    • 1. 해원의 양태

    • 2. 상생의 양태

    • 3. 해원과 상생의 관계

  • Ⅳ. 해원상생과 남북한의 정치 이데올로기

    • 1. 분단 반세기의 남북한 이데올로기 비교

    • 2. 남북한 사회체제 비교

    • 3. 갈등의 해소를 위한 통일 기반 사상의 필요성

    • 4. 해원상생을 바탕으로 한 정치적 통일과 사상적 통일

  • Ⅴ. 해원상생에 의한 남북통일의 모색

  • Ⅵ. 갈등 해소와 통합 사상으로서의 해원상생

    • 1. 통일 이후 예견되는 갈등 양상

    • 2. 해원상생 정치의 실현

  • Ⅶ. 결론


<참고문헌>

1.

대순진리회 교무부(편), 전경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2.

대순진리회 교무부(편), 대순지침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3.

대순진리회 교무부(편),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69).

4.

대순진리회 교무부(편), 포덕교화기본원리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75).

5.

대순사상학술원(편),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1996).

6.

대순사상학술원(편),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1997).

7.

대순사상학술원(편), 대순사상논총: 제3집 (경기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1997).

8.

대순진리회 교무부(편), 대순회보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9.

敎職科硏究協議會(편), 心理學槪論 (서울: 창학사, 1986).

10.

국토통일원통일연수원(편), 민주통일론 (서울: 국토통일원, 1990).

11.

金明勳 외, 心理學 (서울: 박영사, 1974).

12.

金訓基, 心理學槪論 (서울: 학서당, 1997).

13.

도진순,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 (서울: 서울대출판부, 1987).

14.

민병천, 민족통일론 (서울: 고려원, 1985).

15.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편), 평화통일민족운동사: 제3집 (서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1988.

16.

림영창ㆍ배용덕, 甑山神學槪論 (서울: 건강도서, 1982).

17.

박영신 편저, 갈등의 사회학 (서울: 까치, 1984).

18.

백기완, 통일이냐 반통일이냐 (서울: 형성사, 1987).

19.

北韓硏究所(편), 北韓政治論 (서울: 북한연구소, 1979).

20.

北韓硏究所(편), 北韓의 統治이데올로기 批判 (서울: 북한연구소, 1981).

21.

송철복 외역/R. KaganㆍMatthew OhㆍD. Weissbrodt, 북한의 인권 (서울: 고려원, 1990).

22.

愼鏞日ㆍ盧致淑, 敎育心理學 (서울: 동문사, 1994).

23.

申正鉉ㆍ白鍾天 편저, 國家安保論 (서울: 일신사, 1981).

24.

安耕田, 甑山道의 眞理 (서울: 대원출판, 1996).

25.

梁好民ㆍ李相禹ㆍ金學俊 공편, 民族統一論의 展開 (서울: 형성사, 1982).

26.

육군사관학교심리학처(편), 심리학 (서울: 박영사, 1995).

27.

이도형ㆍ양성철, 남북한 유엔시대의 새출발 (서울: 자유평론사, 1992).

28.

李南杓 외, 敎育心理學 (서울: 형설출판사, 1975).

29.

이명영, 권력의 역사: 조선노동당과 근대사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1983).

30.

李相斗, 마르크스ㆍ레닌주의의 諸問題 (서울: 범우사, 1983).

31.

李相斗, 南北韓의 이데올로기와 政治 (서울: 거목, 1987).

32.

李相禹ㆍ梁好民ㆍ李泰旭ㆍ劉載天ㆍ白鍾天ㆍ李慶淑ㆍ金學俊, 북한 40년 (서울: 을유문화사, 1988).

33.

李正立, 大巡哲學 (김제: 대법사편집국, 1947).

34.

李忠元, 敎育心理 (서울: 학문사, 1991).

35.

이홍구 외, 분단과 통일 그리고 민족주의 (서울: 박영사, 1986).

36.

李勳求 역, 現代心理學槪論 (서울: 정민사, 1988).

37.

張秉吉, 大巡宗敎思想 (서울: 대순진리회출판부, 1989).

38.

정용길, 분단국통일론 (서울: 고려원, 1990).

39.

趙淳昇, 韓國分斷史 (서울: 형성사, 1983).

40.

최상안 옮김/Marlies Menge, 동독의 통일 혁명 (서울: 을유문화사, 1990).

41.

최정훈ㆍ이훈구ㆍ한종철ㆍ윤진ㆍ정찬섭ㆍ오경자, 인간행동의 이해 (서울: 법문사, 1997).

42.

통계층 (편),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1997. 12.).

43.

韓昇助 외, 北韓의 現實 (서울: 고대아시아문제연구소, 1980).

4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北韓體制硏究 (서울: 고려원, 1987).

45.

南師古, 格庵遺錄..

46.

世界大百科事典 (서울: 학원출판공사, 1982).

47.

세계대백과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1996).

48.

조선중앙년감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1949).

49.

A. H. Maslow, A Theory of Human Side of Enterprise, Harold J. Leavitt and Louis. R. Pandy(ed.), Readings in Managerial Psych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4).

50.

A. H.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1954)..

51.

D. A. Prescott, Emotion and Educative Process (1938).

52.

Francis G. Hutchins, India′s Revolution: Gandhi and the Quit India Movement (Cambridge, Mass: Havard University Press, 1973).

53.

Glenn D. Paige, The Korean Decision, June 24~30, 1950 (New York: Free Press, 1968).

54.

Hans J.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New York: Algred A. Knopf, 1961).

55.

James H. McBath, ed, British Public Addresses, 1828-1960 (Boston: Houghton-Mifflin Co., 1971).

56.

K. Dunlap, Civilized Life (N. Y.: The Williams & Wilkins Co., 1935).

57.

L. P. Thorpe, The Psychology of Mental Health (N. Y.: Ronald Press, 1950).

58.

Rita L. Atkinson, Richard C. Atkinson, and Ernest R. Hilgard Introduction to Psychology(1979).

59.

R. B. Gattel & A. B. Sweney, Components Measureable of in Manifestcations Mental Conflict, J. Abnorm. Soc. Psychol., 1964..

60.

S. Freud,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N. Y.: Hought Press, 1953).

61.

高南植, “典經에 나타난 陰陽合德의 原理,”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62.

김광수, “북한사회주의 경제체제의 생성 발전과 전망,” 「북한」 통권220호 (1990.4).

63.

金永斗, “大巡思想과 그 世界史的 展開 -解冤相生ㆍ天地工事를 中心으로-,”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64.

金正泰, “大巡眞理의 宗旨에 관한 硏究,”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65.

金正泰, “大巡眞理의 宗旨에 관한 理解,”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66.

김학준, “한반도 분단의 대내외적 요인,” 「국제정치논총」제27집 1호 (서울: 한국국제정치학회, 1987).

67.

림영창, “大巡思想의 神觀攷,”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68.

림영창, “太極兩儀(陰ㆍ陽)와 그 合德에 관한 考察,”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69.

림영창, “神人調化의 新世紀的 意義,” 「대순사상논총: 제3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70.

朴昇植, “陰陽合德의 意義와 思想的 價値,”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71.

朴龍哲, “典經에 나타난 冤의 本質과 構造,”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72.

裵圭漢, “大巡思想과 人類의 未來,”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73.

安鍾沄, “世界化時代와 相生倫理의 要請,”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74.

安鍾沄, “理想的 人間性 形成 위한 陰陽合德論,”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75.

楊茂木, “大巡思想과 韓國政治 -解冤相生 思想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76.

楊茂木, “救援眞理로서의 陰陽合德과 民主主義,”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77.

楊茂木, “天地公事와 民主主義,”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78.

楊茂木, “救援思想으로서의 神人調化,” 「대순사상논총: 제3집」 (경기 포천: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79.

尹起鳳, “陰陽合德의 宗敎的 理解,”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80.

尹起鳳, “神人調化의 宗敎學的 理解,” 「대순사상논총: 제3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81.

李京源, “大巡宗旨의 思想的 構造와 陰陽合德論,” 「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82.

李根直, “解冤相生을 통해 본 甑山道思想의 照明과 具現,” 甑山道敎授信徒會(편), 「甑山道思想硏究: 제2집」 (서울: 대원출판사, 1992).

83.

李應奎, “甑山思想의 解冤相生과 恒産的 利他精神의 法理,” 甑山思想硏究會 (편), 「甑山思想硏究: 제13집」 (서울: 대원출판사, 1987).

84.

李恒寧, “大巡思想의 宇宙史的 意義,” 「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85.

李恒寧, “대순사상에 관한 소고,”대순종교문화연구소(편), 「대순사상의 현대적 이해」 (서울: 대순진리회출판부, 1988).

86.

鄭大珍, “大巡思想硏究를 위한 提言,”「대순사상논총: 제1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6).

87.

鄭大珍, “陰陽合德의 理解,”「대순사상논총: 제2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88.

鄭大珍, “神人調化의 理解,”「대순사상논총: 제3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89.

曺泰龍, “神人調化를 통해 본 修道의 意味,”「대순사상논총: 제3집」 (경기 포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1997).

90.

내외통신, 1998년 1월 26일..

91.

세계일보, 1998년 2월 5일..

92.

중앙일보, 1998년 2월 11일~12일..

93.

동아일보, 1988년 2월 11일~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