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조선시대 『옥추보경』(玉樞寶經) 중의 신장(神將)에 관한 연구

인즈화1,
1중국도교협회부연구원ㆍ국제부부주임
Corresponding Author : 인즈화

ⓒ Copyright 2014,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31, 2013 ; Accepted: Mar 26, 2014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초록

『옥추보경』(玉樞寶經)은 송대의 유명한 도교 경전으로 정식 명칭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설옥추보경』(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說玉樞寶經)이다. 송ㆍ원시대 이후 『옥추보경』은 중국 각 지역에 광범위하게 전해지면서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명나라의 세종(世宗)과 신종(神宗)은 『옥추보경』을 새로 간행하여 직접 서문을 쓰고 동시에 매우 숭앙하였다.

『옥추보경』의 집주본이 조선에 전해진 시기는 대략 명대 시기로 보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전해졌던 『옥추보경』 집주본은 융경(隆慶) 4년(1570)에 전라도 무등산(無等山) 안심사(安心寺)에서 최초로 발간되었다. 그러나 당시 안심사 판본은 첫 페이지와 경문 중의 또 다른 페이지가 없는 불완전한 판본이었다. 옹정(擁正) 11년(1733)에 송몽삼(宋夢三), 서두추(徐斗樞) 등의 제안에 따라 영변(寧邊) 묘향산(妙香山) 보현사(普賢寺)에서 『옥추보경』을 새로 간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또한 불완전한 판본이었으며, 병진년(1736)에 잃어버린 두 페이지를 우연히 찾게 되면서 완전한 판본을 이루게 되었다. 이후 광서(光緖) 무자년(1888)에 김흡(金潝)이 『옥추보경』을 새로 교정하였고, 계룡산(鷄龍山)에서 이를 다시 간행하였다.

명대의 『도장』에 수록된 『옥추보경』 집주본에는 신장도(神將圖)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시대 세 종류의 판본은 모두 신장도(神將圖)가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조선시대 간행본과 비슷한 판본으로 영국의 대영도서관 소장본과 일본 천리대학(天理大學) 도서관의 소장본 및 중국 국가 도서관 고적관의 소장본이 있다. 그런데 안심사 판본은 41명, 보현사 판본은 47명, 계룡산 판본은 48명의 신장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대영도서관은 45명, 중국 국가 도서관은 45명 등으로 차이가 있다.

이러한 판본들에 수록된 신상의 수가 다른 이유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에 본문에서 필자는 먼저 계룡산 판본 『옥추보경』에 근거하여 48신장의 내력에 대한 초보적인 고찰을 진행하였다. 언어상의 문제로 『옥추보경』과 관련된 한국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는 못했지만, 『옥추보경』의 48장과 대순진리회의 『전경』에 등장하는 48장이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조명하는 데 유의미한 기초 작업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를 토대로 나아가 대순진리회의 48신상도와 『옥추보경』의 판본 간의 형태적 특징에 주목하여 면밀한 상호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대순진리회의 신앙체계와 『옥추보경』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옥추보경; 도장(道藏); 신장도(神將圖); 대순진리회; 48장

참고문헌(References)

1.

『典经』, 韩国:大巡真理会出版部, 2010年版。.

2.

『玉枢宝经』.

3.

『道藏』,文物出版社、上海书店、天津古籍出版社, 1988年影印本。.

4.

葛洪撰、胡守 校释, 『神仙传校释』, 北京:中华书局, 2010年版。.

5.

欧阳守道, 『巽斋文集』, 卷十六, 台北:台湾商务印书馆, 1971, 年版。.

6.

楼钥, 『攻媿集』, 卷六十九.

7.

李焘, 『续资治通鉴长编』, 北京:中华书局, 1979年版。.

8.

马端临, 『文献通考』, 北京 : 中华书局, 2006年版。.

9.

范致明, 『岳阳风土记』.

10.

吴曾, 『能改斋漫录』, 卷十八。.

11.

阮阅, 『诗话总龟后集』, 卷三十九, 北京:人民文学出版社, 1998年版。.

12.

王巩, 『闻见近录』.

13.

张舜民, 『画墁集』, 上海:商务印书馆, 1935年版。.

14.

赵道一, 『历世真仙体道通鉴』, 三卷十一 。.

15.

秦志安, 『金莲正宗记』, 卷一。.

16.

叶梦得, 『岩下放言』.

17.

胡仔, 『苕溪渔隐丛话后集』, 卷三十八, 北京:北京图书馆出版社, 2006年版。.

18.

『宋大诏令集』.

19.

『宋會要輯稿』.

20.

『元史』, 成宗本纪。.

21.

『夷坚志』, 北京:中华书局, 2006年版。.

22.

『藏外道书』, 成都:巴蜀书社,1994年版。.

23.

『河图』.

24.

『绘图三教源流搜神大全』, 上海:上海古籍出版社,1990年版。.

25.

刘仲宇, 『正逢时运:接财神与市场经济』, 上海:上海辞书出版社, 2005年版。.

26.

余象斗 编, 『北方真武祖师玄天上帝出身志传』, 上海:上海古籍出版社,1991年版。.

27.

王健, 『神灵入祀与地方社会:明代无锡张巡信仰考略』,『史林』2013年第4期。.

28.

日本道教学会 编, 『东方宗教』 第105号, 2005年版。.

29.

任继愈主编, 『道藏提要(修订本)』, 北京:中国社会科学出版社,1991年版。.

30.

蔡东洲、文廷海 著, 『关羽崇拜研究』, 成都:巴蜀书社,2001年版。.

31.

香港中文大学, 『道教研究学报』 第2期 , 2010年版。.

32.

『古今图书集成』, 上海:中华书局影印本,1934年版。.

33.

『白真人集』, 卷一, 萧天石主编, 『道藏精华』, 台北:自由出版社,1980年版。.

34.

『宣和遗事』, 上海:上海古籍出版社,1991年版。.

35.

Kristofer Schipper and Franciscus Verellen edited, The Taoist Canon: A History Companion to the Daozang, Vol 2,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