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Focus Unit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Ⅰ): 최고신에 대한 표현들과 그 의미들을 중심으로

차선근1,
Seon-Keun Cha1,
1대순종교문화연구소․연구위원
1Daesoon Institute of Religion & Culture
Corresponding Author : Seon-Keun Cha

ⓒ Copyright 2013,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31, 2013 ; Accepted: Nov 19, 2013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ABSTRACT

This paper is to indicate research tendencies of faith in Daesoonjinrihoe and controversial points of those, and to consider the outlook on Sangje after defining it as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for Gu-Cheon-Sang-Je (High-est ruling Entity that is the object of devotion in Daesoon-jinrihoe). As the first introduction to the work, various descriptions for Sangje are arranged and the meanings of those are analyzed.

In brief, first, the name of Gu-Cheon-Eung-Won-Nweh-Seong -Bo-Hwa-Cheon-Jon, expresses the fact that the authority of Sangje (the Supreme Entity) is exposed by spatial concept Sangje dwells in Ninth Heaven. This fact can be compared with the doctrines Allah in Islam and Jehovah in Christianity each are dwelled in Seventh Heaven. And the name shows Sangje is the ruler who reigns over the universe by using yin and yang.

Second, the name,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is imported from China Taoism because it has been in Ok-Chu-Gyeong (the Gaoshang shenlei yushu). But in fact it's root is in Korea because Buyeo and Goguryeo, the ancient Korean nations, have the source of the name. While the name is not the Supreme Entity in China Taoism, it is the Supreme Entity in Daesoonjinrihoe. This fact is a important difference.

Third, arbitrarily or not, the name, Gu-Cheon-Eung-Won -Nweh-Seong-Bo-Hwa-Cheon-Jon, is put on the image of 'resolution of grievances'. The reason is that many peoples in Korea and China has called the name for about 1,000 years ago to help their fortunes and escape predicaments.

Forth, not only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but also the name, Three Pure Ones and Ok-Cheon-Jin-Wang (Yuqingzhenwang) in China Taoism used as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ihoe. But the relations between three Pure Ones and Ok-Cheon-Jin-Wang and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in Dae-soonjinrihoe are different from that in China Taoism.

Fifth, Sangje is associated with the Polaris divinity of Tae-Eul, view on God in Oriental Cosmology. The description Tae-Eul as well as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is indicated Sangje is linked to the faith of Buyeo and Goguryeo.

Sixth, Sangje is not only Mugeuk-Sin (The God of The Endless) who supervise the Endless but also Taegeuk-Ji- Cheon-Jon (The God of The Ultimate Reality) who supervise the Ultimate Reality. These descriptions directly display the fact Sangje is a creator.

Seventh, in case explaining Sangje, the point of view is necessary that grasps the whole viewpoints Sangje 'was’ Hidden God(deus otiosus) and 'is' Unhidden God after Incarnation.

Eighth, Sangje is Cheon-Ju in Donghak, but different from that. Cheon-Ju in Donghak has both transcendence and immanence in tightrope tension, but Cheon-Ju in Daesoonjinrihoe emphasize transcendence than immanence. That difference is the result of the fact Cheon-Ju in Donghak was a being having revealed a man and Cheon-Ju in Daesoonjinrihoe was a being having incarnated after revealing a man.

Ninth, Sangje is Gae-Byeok-Jang who is the manager of the transforming and ordering the Three Realms of the World by the Great Do which is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and Hae-Won-Sin who is the God of resolution of grievances.

Keywords: Highest ruling Entity;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Mugeuk-Sin (The God of The Endless); Taegeuk-Ji-Cheon -Jon (The God of The Ultimate Reality); Three Pure Ones, Ok-Cheon-Jin-Wang (Yuqingzhenwang); the Great Creative Entity and Lord of the Ninth Heaven; Tae-Eul, Cheonju (the Lord of Heaven); Gae-Byeok-Jang (the manager of the transforming and ordering the Three Realms of the World); Hae -Won-Sin (the God of resolution of grievances); Ok-Chu-Gyeong (the Gaoshang shenlei yushu); Incarnation

참고문헌(References)

1.

『대순진리회요람』, 1969.

2.

『대순회보』 3, 1985.

3.

『대순회보』 38, 1993.

4.

『대순회보』 74, 2007.

5.

『대순회보』 94, 2009.

6.

『대순회보』 109, 2010.

7.

『도학원론』, 태극도편찬원, 1992.

8.

『道憲』.

9.

『동경대전』.

10.

『동문선』 Ⅺ, 민족문화추진회, 1982.

11.

『山海經』.

12.

『玉樞經』.

13.

『魏書』.

14.

『전경』, 1974.

15.

『진경』, 태극도 출판부, 1989.

16.

『태극도 안내서』, 태극도본부 교화부, 1966.

17.

『태극도통감』, 태극도본부, 1956.

18.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연구』 62, 2011.

19.

고남식, 「선천 천관과 상제의 초월성」, 『대순사상논총』 8, 1999.

20.

고남식, 「상제 초월성에 대한 외경심의 양상」, 『대순사상논총』 10, 2000.

21.

구보 노리따다, 『도교사』, 최준식 옮김, 칠곡: 분도출판사, 2000.

22.

구보 노리따다, 『도교의 신과 신선 이야기』, 이정환 옮김, 서울: 뿌리와이파리, 2004.

23.

구중회, 『옥추경 연구』, 서울: 동문선, 2006.

24.

김낙필,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윤리사상」, 『한국도교의 현대적 조명』, 1992.

25.

김낙필, 『조선시대의 내단사상』, 서울: 한길사, 2000.

26.

김승혜, 「한국인의 하느님 관념」, 『종교신학연구』 8, 1995.

27.

김용휘, 「한국 仙道의 전개와 신종교의 성립」, 『동양철학연구』 55, 2008.

28.

김일권, 「고대 중국과 한국의 천문사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29.

김일권, 「도교의 우주론과 지고신 관념의 교섭 연구」, 『종교연구』 18, 1999.

30.

김일권, 「북극성의 위치변화 및 한대의 천문우주론」, 『도교문화연구』 13, 1999.

31.

김종서, 「더 넓은 '대순사상'의 이해를 향하여」, 『대순진리학술논총』 1, 2007.

32.

김종서, 「동서 종교간 충돌과 현대 한국의 역동적 신앙」, 『종교와 문화』 16, 2009.

33.

김지현, 「일자와 천제: 태일의 심볼리즘」, 『종교문화비평』 7, 2005.

34.

김 탁, 「증산 강일순의 공사 사상」, 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1995.

35.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서울: 집문당, 1995.

36.

김홍철, 「신인조화 사상의 원리와 그 실천이념」, 『대순진리학술논총』 3, 2007.

37.

김홍철, 「구천상제를 모시고 받드는 경천․수도」, 『대순진리학술논총』 7, 2010.

38.

노길명, 『한국신흥종교연구』, 서울: 경세원, 1996.

39.

노길명, 「대순사상에서의 경천․수도의 의미와 성격」, 『대순진리학술논총』 7, 2010.

40.

류재갑, 「신인조화 사상의 의미와 실천적 함의」, 『대순진리학술논총』 3, 2007.

41.

마노 다카야, 『도교의 신들』, 이만옥 옮김, 서울: 들녘, 2001.

42.

무라야마 지준, 『조선의 유사종교』, 최길성․장상언 공역,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1.

43.

박마리아, 「대순진리회와 도교의 신앙체계에 관한 비교」, 『신종교연구』 24, 2011.

44.

박상규, 「대순진리회의 조직과 그 특성」, 『종교연구』 70, 2013.

45.

배영희, 「巫歌에 나타난 數 '九'의 상징성」, 『한국민속학보』 5, 1995.

46.

송호정, 『단군, 만들어진 신화』, 서울: 산처럼, 2005.

47.

아카마쓰 지조․아키바 다카시, 『조선무속의 연구(하)』, 심우성 옮김, 서울: 동문선, 1991.

48.

안동준, 「북방계 신화의 신격 유래와 도교 신앙」, 『도교문화연구』 21, 2004.

49.

안종운, 「철학적 측면에서 본 신인조화론」, 『대순사상논총』 3, 1997.

50.

에릭 샤프, 『종교학-그 연구의 역사』, 윤이흠․윤원철 옮김, 서울: 한울, 2007.

51.

M.엘리아데, 『성과 속』, 이은봉 옮김, 서울: 한길사, 2001.

52.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 『종교의 의미와 목적』, 길희성 옮김, 칠곡: 분도출판사, 1991.

53.

윤기봉, 「불교 권화사상의 한국적 전개와 대순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54.

윤석산 주해, 『초기동학의 역사 道源記書』, 서울: 신서원, 2000.

55.

윤석산, 『천도교』, 천도교중앙총부 출판부, 2006.

56.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3, 서울: 집문당, 1991.

57.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6, 파주: 집문당, 2004.

58.

이경원, 「대순상제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1, 1996.

59.

이경원, 「한국 근대종교에 나타난 天의 인격성 고찰」, 『한국종교사연구』 7, 1996.

60.

이경원, 「대순신관과 신인조화의 이상」, 『대순사상논총』 3, 1997.

61.

이경원, 「대순사상의 신관연구」, 『종교연구』 34, 2004.

62.

이경원, 『한국의 종교사상』, 서울: 문사철, 2010.

63.

이능화, 『조선도교사』, 이종은 옮김, 서울: 보성문화사, 2000.

64.

이성구, 「四神의 形成과 玄武의 起源」, 『중국고중세사연구』 19, 2008.

65.

이재원, 「한국 신종교의 우주관 연구-대순사상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2011.

66.

이항녕, 「대순사상의 우주사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1, 1996.

67.

이항녕, 「신인조화사상의 현대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3, 1997.

68.

이항녕, 「해원상생사상의 현대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4, 1998.

69.

임영창, 「대순사상의 신관고」, 『대순사상논총』 1, 1996.

70.

임영창, 「대순사상의 신관고(二)」, 『대순사상논총』 2, 1997.

71.

장병길, 「해원상생의 본질고」, 『증산사상연구논문집』 5, 1979.

72.

정재서, 「한국 도교의 고유성」, 『한국 전통사상의 특성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73.

정재서, 「잃어버린 신화를 찾아서-중국신화 속의 한국신화」, 『중국어문학지』 25, 2007.

74.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파주: 김영사, 2010.

75.

주명준 외, 『한국인의 사후세계관』, 전주: 전주대학교 출판부, 2001.

76.

주현철, 「신인조화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3, 1997.

77.

진기환, 『중국의 토속신과 그 신화』, 서울: 지영사, 1996.

78.

진정애, 「보천교와 무극도의 신앙대상에 대한 고찰」, 『신종교연구』 25, 2011.

79.

차선근, 「해인에 대한 고찰」, 『상생의 길』 2, 2004.

80.

차선근, 「강증산의 대외 인식」, 『동아시아종교문화연구』 2, 2010.

81.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연구-우주론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0, 2010.

82.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의 解冤結과 대순진리회의 解冤相生 비교연구」, 『종교연구』 65, 2011.

83.

차선근, 「수운과 증산의 종교사상 비교연구-하늘관과 수행관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9, 2012.

84.

천진기, 『한국동물민속론』, 서울: 민속원, 2003.

85.

최동희․이경원, 『대순진리의 신앙과 목적』,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2000.

86.

최동희, 「대순신앙의 대상에 대한 연구(Ⅰ)」, 『대순사상논총』 1, 1996.

87.

최영길, 「무함마드의 승천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13,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5.

88.

최준식, 「왕중양과 강증산의 삼교합일주의」, 『종교연구』 5, 1989.

89.

표영삼, 『동학(Ⅰ)-수운의 삶과 생각-』, 서울: 통나무, 2004.

90.

何新, 『신의 기원』, 홍희 역, 서울: 동문선, 1990.

91.

한병철․한병기, 『칼과 역사와 무예』, 서울: 학민사, 2000.

92.

홍범초, 『증산교개설』, 서울: 창문각, 1982.

93.

황선명, 「한국 종교사에 있어서 대순진리 종교사상의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1, 2007.

94.

『道敎の本』, 東京: 學習硏究社, 1992.

95.

馬書田, 『中國道敎諸神』, 台北: 國家出版社, 2003.

96.

陸西星, 『封神演義』, 臺北: 三民書局股份有限公司, 2006.

97.

李叔還, 『道敎大辭典』, 臺北: 巨流圖書公司, 1986.

98.

李遠國, 『神霄雷法』, 成都: 四川人民出版社, 2003.

99.

鍾靈馨光, 『道敎諸神說』, 台北: 益群書店股份有限公司, 2002.

100.

Kessler, Gary E., Studying Religion, New York: McGrawHill,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