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해원상생 사상의 사회과학적 사유와 통일실천적 가치

박영택1,
Young-Taek Park1,
1대진대학교․교수
1DaeJ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Young-Taek Park

ⓒ Copyright 2013,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31, 2013 ; Accepted: Nov 19, 2013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ABSTRACT

Korean reunification would be one of the greatest heaven-earth works by Gucheon Sangje in terms of the lasting paradise of the Later World. The Oseonwigi-gongsa describes what it will b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Haewon Sangsaeng is the very practical means in unifying the two Koreas.

What are the effectiveness of Haewon Sangsaeng, regarding Korean reunification in dealing with the social science? This researcher has found out three main impacts as follows: (1) it deals deeply with the cause of the social conflicts, and it could provide the solutions towards the Later World, (2) it highlights the great values and the potential abilities of human, and (3) it widens the research areas up to the heave-earth-human Samgye.

Dealing with Haewon Sangsaeng in the social science, researchers must consider the limit of the research, which are (1) the tenacity of researcher’s goal and the extremity of the research, (2) the possibility of a fallacy in doing the social science, and (3) the paradox of knowledge.

In conclusion, Haewon Sangsaeng has many fundamental and practical values when it comes to Korean reunification. First, it should be a very important virtue for the unification leadership and the Korean people. Second, it could heal the serious illness, rooted in the Korean War, and many internal conflicts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ideologically. Finally, it also recover North Korean people’s severe pain and grief under the long-term dictatorship, and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for 60 years.

Keywords: Haewon Sangsaeng; speculation of social science; the practical value of unification; Oseonwigi-gongsa

참고문헌(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典經』,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4.

2.

대순진리회 교무부, 『大巡指針』,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3.

대순진리회 교무부, 『大巡眞理會要覽』, 대순진리회 출판부, 969.

4.

강성학, 『무지개와 부엉이』, 서울: 박영사, 2010.

5.

강인철, 「종교와 통일운동」, 『종교문화연구』 창간호, 1999.

6.

김경동, 「오늘날 사회과학방법론을 둘러싼 쟁점들」, 『현상과 인식』 23, 1982.

7.

김남식, 『남로당연구』, 서울: 돌베개, 1984.

8.

김방용, 「해원상생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9.

김범연, 「종교문화연구」, 한국신종교학회 발표 논문, 2000. 12. 16.

10.

김상철, 「남북한 분화의 이질화와 동질성 회복방안」, 『복지행정연구』 19, 2003.

11.

김영재, 『북한의 이해』, 서울: 법문사, 2002.

12.

김영진, 「남북한 통일과 해원상생 사상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3.

김용대, 「남북한 이질화 극복과 통일교육에 관한 고찰」, 『윤리교육연구』 11.

14.

김웅진․김지희 공저, 『정치학 연구방법론: 경험과학 연구의 규준과 설계』, 서울: 명지사, 2005.

15.

김웅진, 『과학패권과 과학민주주의』,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16.

김웅진, 「과학적 신념, 신뢰와 지식의 패러독스」, 『신뢰연구』 16, 2006.

17.

김정일, "전당과 온 사회에 유일사상체계를 더욱 튼튼히 세우자," 중앙당, 국가, 경제 기관, 근로단체, 인민무력, 사회안전, 과학, 교육, 문화예술, 출판보도 부문 일군들 앞에서 한 연설, 1974 년 4월 14일,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7.

18.

김정태, 「해원상생의 실천 방안에 대한 소고」, 『대순사상논총』 4, 1998.

19.

김창순, 『북한 15년사』, 서울: 지문각, 1961.

20.

김판수 외,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서울: 학지사, 2000.

21.

김학준, 『한국전쟁』, 서울: 박영사, 1989.

22.

김홍철, 「해원상생사상과 그 실현 이념」,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3.

동독대사관, 『독일 통일 6년, 동독재건 6년』, 1996. 12.

24.

박세일, 「한반도 통일과 불교의 역할」,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17-1.

25.

박광수,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원불교」, 한국신종교학회 발표 논문, 2000. 12. 16.

26.

박영수, 「대순진리회의 종교적 법리에 의한 남북통일 전망」,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7.

박용철, 「해원상생의 실현에 대한 고찰」, 『대순사상논총』 4, 1998.

28.

서대숙, 『현대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서울: 을유문화사, 2000.

29.

송상범, 「남북한 통일의 해원상생적 접근 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30.

양무목, 「통일기반사상으로서의 해원상생」, 『대순사상논총』 4, 1998.

31.

엠네스티, 『2013 국제엠네스티 연례보고서』, 2013.

32.

원영진, 「평화통일과 대종교」, 한국신종교학회 발표 논문, 2000. 12. 16.

33.

유재갑, 「해원상생 사상과 영구 평화사상: 그 실천적 의미」,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34.

이경원,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대순사상논총』 4, 1998.

35.

이만열, 「평화와 통일을 위한 한국교회 3.1선언의 역사적 의의」, 『기독교와 통일』 3.

36.

이수윤, 『철학개론』, 서울: 법문사, 1996.

37.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 서울: 역사 비평사, 1995.

38.

이항녕, 「해원상생 사상의 현대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4, 1998.

39.

이항녕, 『현대문명과 대순사상』, 서울: 일심, 2004.

40.

최완규, 『북한은 어디로』, 마산: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6.

41.

통일부, 『북한개요 2000』, 서울: 통일부, 2000.

42.

岩崎武雄/허재윤 역, 『서양철학사』, 대구: 이문출판사, 1987.

43.

Chava Frankfort-Nachimias & David Nachimias,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 New York: St. Martin's Press, 1992.

44.

D. Cunningham, Assessing constructions and constructing assessments: A dialogue.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A conversation, New Jersey: Lawrence Elbaum Associates, 1992.

45.

I. Kant/최재희 옮김, 『순수이성비판』, 서울: 박영사, 1999.

46.

Kenneth N. Waltz,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New York: Random House, 1979.

47.

S. Warren/이성화 옮김, 『변증법과 정치이론』, 서울: 인간사랑,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