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증산의 도가적 경향과 《무극도》의 도교적 요소

고남식1,
Nam-Sik Ko1,
1한국, 대진대학교
Corresponding Author : Ko, Nam-Sik

ⓒ Copyright 2004,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Jun 30, 2004

Abstract

JeongSan(1895~1958) achieves spiritual enlightenment from JeungSan(1871~1909) in 1917. So JeongSans thoughts is origined from JeungSan’s Cheonjigongsa. JeungSan’s thoughts has a tendency of taoism. JeungSan’s taoistic thoughts is chiefly revealed by taoistic human ripening, daily taoistic life. JeungSan maintain his taoistic thoughts through Shinto. JeungSan’s Shinto is concerned in Bokhee’s Yuk thoughts.

Forwardly JeungSan synthesize a period from Cheonhwang. By the way Cheonhwang thoughts has a character of Meuweeihwa. This fact is out a special property of JeungSan’s thoughts. That is, JeungSan’s taoistic thoughts is related to ancient times Sinto. JeungSan’s Shinto thoughts is concerned with JeungSan’s taoistic thoughts. JeungSan’s Shinto and Meuweeihwa thoughts is together related to JeungSan’s Cheonjigongsa. JeungSan’s Shinto is progressed by newly religious sacred work named Cheonjigongsa. JeungSan’s Shinto is composed of a divine judgment to the universe and human. The Mugeugto is founded through JeungSan’s Cheonjigongsa by JeongSan in 1925. The Mugeugto established JeungSan as a religious subject named KucheonEungwonNoiseongBowhoaCheonzonSangje. This treatise disscuss that the Mugeugto taoism is revealed by its turning up time, a religious subject and purpose. The Mugeugto appearence is concerned with Sinwon. JeungSan’s Shinto thoughts is composed of a divine judgment that is built up JeungSan as a KucheonSangje. According to it, JeungSan’s taoistic thoughts is taoism in the Mugeugto. The purpose of the Mugeugto is a JisangSinseon and a JisangCheonkug. A JisangSinseon thoughts and A JisangCheonkug is realized by JeungSan’s Shinto.

Keywords: 증산의 도가적 사상; 증산의 신도(神道); 신원(新元); 무극도; 지상신선; 지상천국; 구천상제
Keywords: JeungSan’s taoistic thoughts; JeungSan’s Shinto; Sinwon; Mugeugto; JisangSinseon; JisangCheonkug; KucheonSangje

<참고문헌>

1.

『史記』.

2.

『典經』.

3.

『正統道臧』.

4.

『周易』.

5.

『標註 十八史略 讀本』.

6.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 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69..

7.

대순진리회 교무부 편, 『대순지침』,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8.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대순종교사상』, 경기도 포천,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7..

9.

임동석, 『中國學術綱論』, 서울, 고려원, 1997..

10.

정재서,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서울, 푸른숲, 2000..

11.

고남식, 『대순사상에 나타난 동학의 위상과 증산의 참동학 전개』, 『대순사상논총』 16집, 경기도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2003..

12.

김낙필, 『한국도교연구의 중요쟁점』, 『한국의 신선사상』, 서울, 아세아문화사, 2000..

13.

김만산, 『역학의 시간관』, 『주역의 현대적 조명』, 서울, 범양사 출판부, 1993,.

14.

김탁, 『한국종교사에서의 도교와 증산교의 만남』, 『도교의 한국적 수용과 전이』,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4..

15.

김홍철, 『한국 신종교에 나타난 도교사상』, 『도교사상의 한국적 전개』, 서울, 아세아문화사, 1989..

16.

노길명, 『신과 인간의 원한을 말소한다』, 『한국사상의 심층』, 서울, 우석, 1994..

17.

송항룡, 『한국 도교 도가 사상의 특질』, 『한국사상의 심층』, 서울, 우석, 1994..

18.

윤석산, 『동학에 나타난 도교적 요소』, 『도교사상의 한국적 전개』, 서울, 아세아문화사, 1989..

19.

윤재근, 『한국 근대의 종교ㆍ사상적 동향과 대순사상의 대두』, 『대동철학』 23집, 부산, 대동철학회, 2003..

20.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에서 보는 도교와 불노장생』, 『한국도교와 도가사상』,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1..

21.

정재서, 『한국 민간도교의 계통 및 특성』, 『한국 도교문화의 위상』,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3,.

22.

高懷民 著/ 숭실대 동양철학연구실 譯, 『中國古代易學史』, 서울, 숭실대출판부, 1994..

23.

구보 노리따나 지음/ 최준식 옮김, 『道敎史』, 서울, 분도出版社, 1990..

24.

니니안 스마트 지음/ 김윤성 옮김, 『종교와 세계관』, 서울, 이학사, 2002..

25.

무라카미 시게요시 外/ 최길성 편역 , 『일본의 종교』, 서울, 예전, 1993..

26.

이능화 輯述/ 이종은 譯註, 『조선도교사』, 서울, 보성문화사, 1986..

27.

우민홍 저/ 권호ㆍ김덕삼 역, 『도교문화개설』, 서울, 불이문화, 2003..

28.

윌리엄 페이든 지음/ 이진구 옮김, 『종교의 세계』, 서울, 청년사, 2004..

29.

陳鼓應 지음/ 최진석ㆍ 김갑수ㆍ이석명 옮김, 『주역 유가의 사상인가 도가의 사상인가』, 서울, 예문서원, 1996..

30.

村罔典嗣 지음/ 박규태 옮김, 『일본신도사』, 서울, 예문서원, 1998..

31.

(日)窪德忠 著/ 蕭坤华 译, 『道敎諸神』, 四川人民出版社,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