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전경』에 나타난 치병의 사례와 유형 분류 – 단일한 방식
① 글: 7회 ② 말(꾸짖음 포함): 9회 ③ 심고: 2회 ④ 전이(병을 옮김): 1회 ⑤ 섭취: 4회 ⑥ 도포: 2회 ⑦ 마사지: 0회 ⑧ 기타 특정행동: 7회

번호 전경 구절 환자 및 증상 치유 방법 유형 분류
1 행록 4-36 김병욱 아내의 와사증 글을 써주고 부엌에서 불사르게 함
2 공사 1-16 정성백의 오한 글 한 절을 읽어줌
3 공사 1-20 오의관의 해솟병 글을 써주고 그것을 자는 방에 간수하게 함
4 제생 7 김윤근의 치질 환자에게 아침마다 시천주를 7번씩 외우게 함
5 제생 14 김갑진의 문둥병 환자를 문 바깥에서 방 쪽을 향하여 서게 하고, 김형렬 외 여러 사람에게 대학 우경 일장을 읽게 한 후 10분 뒤에 돌려보냄
6 제생 20 김형렬의 오한, 두통 환자에게 64괘를 암송하게 함
7 제생 32 주막 주인의 창증 종도들에게 대학 구절(대학지도 재명명덕 재신민 재지어지선)을 읽게 함, 환자가 물을 아래로 쏟더니 부기가 빠짐
8 행록 4-19~20 손병욱 아내의 골절쑤심, 식음 전폐, 사경을 헤맴 “왜 그리하였느냐”고 세 번 되풀이 꾸짖음, 혼잣말로 “죽을 다른 사람에게 가라”고 함
9 교법 1-43 김보경의 성병 “본처를 저버리지 말라”고 일러준 이후 낫게 한 구체적인 방법은 알 수 없음
10 교법 3-12 박공우의 가슴뼈 타박상 말로써 공우가 마음을 풀고 뉘우치게 함 (이후 천원교 예수교회 열두 고을 목사 대전도회가 열림)
11 제생 5 김형렬 아내의 산후 복통 “이후부터 나를 믿고 근심을 놓으라”고 말해줌
12 제생 28 김경학 아들의 병 병실에 들어가 “일어나지 않으니 그런 법이 어디에 있느냐. 빨리 일어나라”고 말함
13 제생 41 고부인 모친의 단독 “왕대 뿌리에 왕대 나고, 시누대 뿌리에 시누대 나나니 딸이 잘 되도록 축수하라”고 말로 부탁함
14 교법 1-40 정남기의 아우가 숨이 막히고 통하지 못함 “어찌 그렇게 곤욕을 보느냐”고 물음
15 권지 2-1 박공우의 요통 박공우와 길을 가는데 갑자기 노하여 “너의 허리를 베어버리리라”고 꾸짖음
16 제생 33 김낙범의 천포창 환자를 한참 꾸짖음
17 권지 2-1 박공우 아내의 허리, 다리 타박상 박공우가 상제께서 계신 곳을 향하여 지성으로 심고함
18 권지 2-12 황응종 아들의 급병 황응종이 청수를 떠놓고 멀리 상제가 계신 곳을 향하여 두손 모아 발원함
19 제생 34 김영조의 안질 환자의 안질을 자신의 눈에 옮김
20 교운 1-24 송대유 종제(사촌동생)의 폐병 환자에게 보리밥을 먹게 함
21 제생 35 문공신이 고부화액 때 얻은 신병이 도짐 환자에게 찹쌀 아홉 되로 밥을 지어 먹게 함
22 제생 37 이질로 고통받는 사람 환자에게 사물탕 본방에 목과(木果) 세 돈을 넣은 약을 줌
23 제생 39 박공우의 설사 살기가 붙은 참외를 먹은 환자에게 닭국을 먹으라고 함
24 행록 3-7 천원 장씨의 타박상 환자에게 생지황의 즙을 상처에 바르게 함
25 행록 4-25 고부인의 단독(丹毒) 환자의 손등에 침을 발라줌
26 행록 2-19 김도일의 요통 환자의 지팡이를 빼앗아 꺾어 버림
27 공사 1-21 오의관 아내의 청맹 환자의 창문 앞에서 환자와 마주 향하여 서서 양산대로 땅을 그어 돌림
28 제생 40 김형렬 딸의 병 문 밖에 나가서 휘파람을 세 번 불고 만수를 세 번 부르니 하늘의 지미 같은 것이 가득히 낌, 공중을 향하여 한 번 입 기운을 부니 곧 바람이 일어나 지미를 다 흩어버림
29 제생 44 앉은뱅이 여인 두어 차례 찾아감
30 권지 2-28 신원일의 병 수년 전 급병으로 사경에 빠졌을 때 어떤 사람이 일러준 대로 새 옷으로 갈아입고 문 밖 동쪽 하늘을 보면 구름 속에 붉은 옷을 입고 앉아 계시는 분께 절 사배를 함
31 제생 8 이도삼의 간질병 눕혀 놓고 잠을 자지 못하게 함 (밥을 먹고 난 후 배가 아프고 변에 담이 섞여 나오다가 14일 만에 간질 기운이 사라짐)
32 제생 29 김경학의 위독한 병 환자에게 사물탕을 끓여 땅에 묻고 달빛을 우러러 보게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