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종단 및 『전경』 서사 활용 기획전시의 예

항목 주제 구성 요소
인문지리 정읍, 익산, 전주, 부산, 여주, 시루산, 안면도 등 역사, 인문지리 정보, 풍수지리, 문화지도, 현장답사
문화자원 (민속) 의식주 음식, 의복, 집, 건물, 마을, 도로, 저자거리, 직업 등
정치, 경제, 사회 활동 정부 조직, 행정구역, 인구, 화폐, 도량형, 토지
설화 『전경』의 인물과 관련한 설화
속담 『전경』에 언급된 속담 및 격언
놀이, 관혼상제 의식(儀式) 여사당, 남사당, 굿, 성복제, 치성, 면례, 묘제
한시(漢詩) 시화전, 손글씨, 시낭송회
신(神) 조왕신, 우사(雨師), 벼락신, 명부사자, 망량 등
육십갑자 띠, 천간, 지지
역사자원 역사적 또는 전설속 인물: 요순우탕(堯舜禹湯), 복희, 여동빈, 만력제, 이순신, 진묵, 전봉준, 최제우 등 업적, 언행록, 연대기, 가계도, 족보, 저서, 작품, 영정, 글씨
역사적 사건: 임진왜란,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연대기, 호국영웅, 사회변동
자연 생태자원, 기상 환경 및 기후위기와 연계한 전시, 포럼이나 학술행사
대순진리회 조직 및 산하기관 방면, 병원, 학교, 복지재단 등 종단산하 조직이나 기관에 할애하는 특별 전시
어린이 및 청소년 그림, 만화, 또는 숏폼 전시, 체험 활동
도장 내 조형물, 성화 도록(圖錄), 실감콘텐츠 조형물 전시
학술연구 도서, 회보, 논문집, 신문기사, 번역물, 소책자, 기타 연구물
국제 교류 포럼, 행사, 영상물, 사진, 기념품, 오(만)찬회, 회의
영상물 영화, 홍보영상, 다큐멘터리, SNS, 기타 종단기록물
개방성 천하포덕 다문화사회의 이해 및 종교간 대화와 연계한 전시 및 행사
유희성 도장 건축물 레고로 만든 디오라마 전시, 미디어 파사드
공연 『전경』서사 스토리텔링, 배우, 무대, 장치, 조명, 극본(대사), 춤, 노래
디지털콘텐츠 VR, AR, 홀로그램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