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보호 | • 빈곤, 아동노동, 차별 등으로 소외되는 아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 (교육 접근성 향상)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을 지원하고 교육 기자재, 학비·장학금을 제공해 양질의 교육 환경을 제공• (양질의 교육 보장) 교사 지원 및 역량강화 지원, 문해 능력 및 산술 능력 배양과 젠더(Gender), 직업교육훈련 등 발달과정에 맞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지원을 통해 교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 (교육권 인식 강화) 교육권 옹호 캠페인 진행, 자치활동 지원, 학부모 및 지역주민의 평생 교육 개발·운영을 통해 아동 교육권에 대한 부모, 공동체의 인식을 증진 |
보건의료 | • 열악한 보건위생환경과 기초 보건의료서비스의 부재로 건강한 삶을 보장받지 못하는 지역에 전문적인 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여 예방 가능한 질병을 예방하고 아동과 지역주민들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 (보건의료 접근성 및 서비스 질 향상) 보건소 등의 의료시설을 건축 및 개보수, 의료물품과 기자재를 지원해 개선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 (양질의 모자보건 서비스 향상)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지역보건원을 양성해 산모의 건강관리와 보건 인식개선에 힘쓰고, 안전한 출산 지원• (질병 예방 및 영양 개선) 영양식 지원을 통해 아동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소외열대질환, 말라리아 등 다양한 질병의 위험에 처한 아이들의 건강을 돌봄 |
식수위생 | • 깨끗한 식수와 안전한 위생시설 및 교육을 통해 아동과 지역주민들이 위생적인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 (식수 위생시설 접근성 강화) 식수 및 위생시설 설치 및 보수, 아동과 지역주민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 (위생행동 개선) 손 씻기 등 올바른 개인위생 습관 형성을 통해 질병의 전파 경로를 차단하도록 지원• (지역주민 식수 위생 시설 관리 역량강화) 지역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식수 위생 시설을 관리할 수 있도록 위원회를 조직하여 역량 강화 |
소득증대 | • 주민조직을 중심으로 다양한 소득증대 활동을 지원하고 친환경적인 농업을 확산하여 지역주민들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고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 (지역사회 경제적 역량 강화) 소득증대그룹 및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물자, 인프라 및 경제역량 강화 교육을 제공, 주민들의 다양한 경제활동을 지원하여 소득을 증대시키고 지역사회의 경제적 역량을 강화• 농촌 기후변화 대응력 강화 친환경적인 농업 기술을 지원하고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인프라를 지원하여 환경을 보존함과 동시에 농업 생산량을 높여 주민들의 기후변화 대응력을 강화• 사회적기업 설립 및 운영을 통한 경제적・사회적 가치 창출 |
아동권리옹호 | • 사회 계층 중 가장 취약한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고 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캠페인과 교육활동을 진행하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 인식 개선, 지역/중앙 정부 정책에 대한 의견 제시 등을 통해 사회변화를 촉구하여 아동보호 및 권리 신장 |
인도적 지원 | • 자연 재난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웃에게 긴급구호와 재건복구 활동을 진행해 일상의 회복을 지원• 재난위험경감사업을 통해 재난 발생 시 대비할 수 있는 힘을 키우도록 도우며, 분쟁지역, 취약 국가 난민들의 안전과 생계를 지원하는 난민 지원사업을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