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 시천주 세 번을 제각기 따라 읽게 하고 이름을 물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 6판에는 상제가 시천주 세 번을 읽은 후 각자 따라 읽게 하고 성명만이 아니라 주소도 물음(7-1)이어서 32절에는 청수를 마시게 함 ⟹ 6판에는 ‘세상이 다 아는 이름이냐’고 물은 뒤에 청수를 마심. | 서술 차이 |
33 | 6판에는 33절과 같은 내용에 추가로 뒷 부분에 공자의 72인만 통예(通禮)케하여 얻지 못한 이의 함원(含怨)을 말하고 상재, 중재, 하재는 각각 7일, 14일, 21일이면 성도(成道)(3-158) | 내용 추가(6판) |
34 | 공자와 석가에게서 통한 이를 보인 뒤 도통을 얻지 못한 자가 원을 품은 것을 밝히고 누구에게나 마음을 밝혀 주며 상중하재의 성도하는 기간과 상중하등의 능력을 말하였으나 ⟹ 6판은 백성까지 마음을 밝혀 자기 일은 자기가 알게 하고 남녀가 서로간의 탐심이 없게 하며, 길에서는 흘린 것을 줍지 않고 산에는 도적이 없게 한다는 내용이 뒤에 추가되어 있다. 상중하등의 능력은 6판 3장 154절에 따로 기록됨. | 내용 추가(6판) |
35 | 34절에 이어 박공우에게 말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 종도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고 ‘예로부터 생이지지를 말하나 이는 그릇된 말이라’ 한 내용추가(6-68). 35절의 무한한 ‘공력’ ⟹ 6판에서는 무한한 ‘공부’. | 내용 추가(6판), 용어 차이 |
37 | ‘상악천권(上握天權)하고 하습지기(下襲地氣)식’ ⟹ 6판에 ‘반천무지식(攀天撫地式)’ 또 사배를 받았으니 내가 한 번 절하리라하고 단배(單拜)로 절함(7-5) | 용어기록 차이, 내용 추가(6판) |
38 | 교운을 펴시니라가 ⟹ ‘교운을 전하리라’(7-3). 6판 구절의 끝에 ‘교운의 개시(開始)가 초장봉기지세(楚將蜂起之勢)를 이루리라’가 더 있음. | 용어기록 차이, 내용 추가(6판) |
39 | 6판 4장 78절에는 김갑칠도 공사에 참여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일을 하려면 물불을 가리지 않아야되니라 ⟹ 6판은 “일을 하려면 ‘화지진(火地晉)’도 하여야 하느니라” | 종도 추가, 용어기록 차이 |
40 | 40절은 ‘어느날 상제께서 교운을 굳건히 하고자 도통에 관해 말씀이 계셨도다’가 6판 3장 142절 앞에 더 추가되었다. | 내용 추가(6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