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채소를 잘 자라게 하심(1902.여름) | 권지(종도 조력) |
2 | 허물을 빌게 하고 깨우쳐주고 척신과 겁액을 풀어 줌 | 교법(가르침), 제생 |
3 | 소퇴원 사람들이 상제와 형렬을 잘 알게 됨(1902) | 교법(종도의 추종) |
4 | 김형렬에게 心法을 傳授하고 修鍊케 함(4월) | 공사(심법전수, 수련) |
6 | 儒佛仙에서 김보경 불을 짚음, 儒는 腐儒 | 교법(유불선) |
7 | 魍魎의 사귐(7월) | 교법(망량) |
8 | 김형렬 수련을 마침(9월 19일), 공사의 확신을 줌 | 공사(수련), 교법(확신) |
10 | 교운을 편 후 강태공, 석가모니, 관운장, 이마두 언급함 | 교법(역사인물) |
11 | 이치안 상제의 예지에 감탄하여 추종(婚事의 일) | 권지(상제의 예지) |
12 | 김병욱의 禍厄(1903.4) | 권지, 제생(구제) |
13 | 김병욱 毛骨이 悚然함 | 권지, 제생(구제) |
14 | 김병욱 장흥해의 집에서 석달을 지냄, 이후 화액 없어짐 | 권지, 제생(구제) |
15 | 일진회의 약탈을 미리 막음(7월) | 공사(상제 공경) |
16 | 제생의세, 호생의 덕 | 교법(호생, 제생의세) |
17 | 학교 교육의 문제와 판 밖 성도(成道) | 교법(교육), 공사 |
18 | 김석 입도 | 공사(입도) |
20 | 신명해원과 태을주 | 공사(주문) |
22 | 운장주 | 공사(주문) |
24 | 상제 송대유 종제(從弟)의 폐병을 제생하심(1907.봄) | 제생 |
26 | 차경석 교훈(삼략), 수부(1907년) | 교법(훈회) 공사(首婦) |
29 | 성인의 말, 子思 | 교법(子思) |
30 | 堯의 日月의 법, 오주(1907.12.24) | 공사(주문) |
31 | 문공신 교훈, 죽은 이화춘을 위안 | 교법(교훈), 권지(죽은이 위안) |
32 | 대학교, 교를 전함 | 공사(대학교, 傳敎) |
33 | 선령신의 천상공정 참여, 도통은 각기 닦은 바 대로. | 공사(도통) |
34 | 도통. 上才, 中才, 下才와 상등, 중등, 하등의 능력 | 공사(도통) |
35 | 공부, 정북창의 예 | 교법(공부) |
36 | 모든 일에 있는 말로 만들어야함 | 교법(말) |
39 | 방안에서 글을 쓴 두루마리를 소화하는 공사 | 공사(두루마리) |
40 | 교운을 굳건히 함. 도통 | 공사(교운) |
41 | 도통줄, 도통신 | 공사(도통) |
43 | 상제의 부친(진정한 효) | 교법(孝) |
44 | 成編된 책을 불사름, 한문 글귀(1908.4) | 공사(漢文 글월) |
47 | 도통(8괘) | 공사(도통-8괘) |
48 | 천하사(천간과 지지) | 공사(천간, 지지) |
49 | 聖과 雄을 겸하라 | 교법(聖雄) |
50 | 신경수 집 벽 위의 글 | 공사(한문) |
51 | 천자(天子)를 도모 하는 자는 다 죽으리라(1908.6) | 교법(天子圖謀경계) |
52 | 8괘 공사 | 공사(8괘) |
53 | 8괘를 맡기는 공사(통제사, 360일을 맡음) | 공사(8괘 맡기는) |
54 | 布德所 공사, 차경석과 병부(1908.11) | 공사(포덕, 병권) |
55 | 『대학』 右經과 대운 | 교법(『대학』책) |
56 | 『대학』 右經 一章의 글 | 교법(『대학』책) |
57 | 『대학』의 다른 장의 글 | 교법(『대학』책) |
59 | 五呪를 만명에게 전하라 | 공사(呪文) |
61 | 36만신, 雲長呪 | 공사(呪文) |
62 | 64괘, 24방위, 海印 | 공사(海印) |
63 | 工夫의 중요성 | 교법(工夫) |
65 | 後天의 선도, 불도, 유도, 서도의 宗長 | 예시(後天宗敎宗長) |
66 | 『玄武經』 (1909.1.1.사시) | 공사(『玄武經』) |